역사/한문사료2013. 4. 4. 23:34
728x90

太宗武烈王立 諱春秋 眞智王子 伊湌 龍春 一云 龍樹 之子也. 唐書 以爲 眞德 之弟誤也. 母 天明夫人 眞平王女 妃 文明夫人 舒玄角湌女也. 王儀表英偉 幼有濟丗志事 眞德位歷伊湌  唐帝授以特進 及 眞德薨羣臣請 閼川 伊湌攝政 閼川 固讓曰 臣老矣無德行可稱 今之德望崇重莫若春秋 公實可謂濟世英傑矣 遂奉爲王 春秋 三讓不得已而就位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5권 태종무열왕전

 

해석: 태종무열왕이 왕이에 올랐으니 이름은 춘추이다.  진지왕의 아들 이찬 용춘(혹은 용수라고도 한다. 당서 진덕왕의 동생이라 하였으나 오역이다.)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천명부인이고 진평왕의 딸이다. 왕비는 문명부인으로 각찬 서현의 딸이다. 왕의 의표는 영위하였으며 어릴때 세상을 다스릴 뜻이 있었다. 진덕을 섬겨 이찬을 역임했고 당나라 황제가 특진을 제수했다. 진덕여왕이 죽은뒤 여러 신하들이 알천이찬이 섭정할것을 청했다. 알천은 굳이 사양하며 말했다. 신은 늙고 이렇다 칭할 덕행이 없습니다. 지금의 덕행이 높은건 춘추만한 이가 없으니 실로 세상을 다스릴 만한 인물이라 할수 있습니다. 마친내 춘추가 왕에 봉해지고 세번 사양끝에 왕위에 올랐다.

신라사회는 골품제를 기초로 한 폐쇄적 신분사회였다. 폐쇄적 신분사회일수록 특권층을 적게 유지하기 위해 애를 썼다. 이는 6세기 이후 신라의 발전과정에서 골족이 성골과 진골로 나뉜것으로 알수 있다.(6세기 현 왕가가 다른 왕족과 차별하기 위해 성골을 만든것으로 파악됨)결국 7세기에 이르러 성골남자가 소멸하게 되어 선덕,진덕왕이 즉위하기에 이른다.[각주:1] 이후 즉위한 무열왕 이후 그의 직계 자손이 왕위에 올라 왕권의 전제화를 진행하게 된다.[각주:2]  따라서 김씨 왕족은 왕권 옹호 세력으로 변질되고 박씨 세력과 가야 및 고구려계 귀족은 점차 정권에서 소외되고 진골 귀족에게 억눌려있던 6두품 계층이 대두된다.[각주:3]

 

  1. 한길 골품제 [본문으로]
  2. 한통p123 [본문으로]
  3. 7차 국사 p61 [본문으로]
728x90

'역사 > 한문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봉 정도전과 조선의 건국이념  (0) 2013.04.10
고구려의 관등제와 후기 정치상황  (0) 2013.04.09
최승로의 시무 28조  (0) 2013.04.03
난전과 신해통공  (0) 2013.04.03
국학과 독서삼품과의 설치  (0) 2013.04.01
Posted by 런닝보이
역사/한문사료2013. 4. 3. 22:16
728x90

華夏之制, 不可不遵. 然四方習俗, 各隨土性, 似難盡變. 其禮樂詩書之敎, 君臣·父子之道, 宜法中華, 以革卑陋, 其餘車馬·衣服制度, 可因土風, 使奢儉得中, 不必苟同.

최승로열전 . 시무 28조중 11번째 내용

 

 

해석: 화하의 제도는 따르지 않을수가 없으나, 사방의 습속은 각각의 토성을 따르므로 완전히 변화시킬수 없습니다. 군신부자의 도는 중화의 법을 따라서 비루함을 고치고, 그 나머지 차마의복제도는 토풍에 의거하도록 하소서. 사치와 검소가 중용을 얻게해 반드시 굳이 같을 필요가 없습니다. 

즉 중국의 제도를 따르되 습속까지 따를 필요는 없음을 말하고 있는 내용이다.

 

-시대적 배경: 광종의 정치개혁은 완결로 끝나지 않았으며 이후 경종대에 정치적 혼란을 가져왔다.(976년 경종이 광종대 참소를 입은 자손들의 복수를 허락). 이후 신구세력이 어느정도 균형을 맞는 정국 가운데 성종이 즉위했는데(981) 이 시기에 최승로, 김심언 등 신라 6두품 출신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지배체제 정비에 일조한다. 성종은 즉위년에 교서를 내려 신하들에게 봉사를 올리도록 했는데 이에 대해 최승로가 국가 시책으로 왕에게 시무 28조를 지어 올린 것이다. 시무 28조는 현재 22조만 전해진다. 이외에도 최승로는 오조치적평이라는 글을 올려 이전왕들의 치적에 대해서 평가하기도 했다.

 

-성종대의 지배체제 정비

 

1.통치기구를 재편(중앙기구 및 지방제도)

성종 2년(983)에 3성6부가 설치가 되었다. 12목 설치 처음으로 중앙에서 외관 파견하여 호족들이 향리의 지위로 격하.

1)중앙기구- 성종대에 일련의 정치제도가 완비되기는 하지만 지금 배우는 것처럼 완전한 것은 아니며, 보통의 교과서에서 배우는 내용은 문종대에 이르러서 완비된 내용을 다루는 것이다.

중앙기구는 당송의 제도를 상당부분 수용해 2성6부체제를 갖추었다. 먼저 중서문하성이 원년과 2년에 걸쳐 성립되었으며, 뒤이어 상서성과 중추원, 대간제도, 문산계 등이 성종 당대에 제정되었다.

식목도감은 성종말정도 시작되어 현종대에 그 제기능을 드러낸 것으로 보이며, 도병마사는 현종대에 설치되었으며, 중추원은 목종대 설치되었다.

①중서문하성 : 고려 최고의 관직인 중서령과 문하시중이 있고 2품 이상의 재신과 낭사(언관)가 소속되어 있다.

②중추원(후대의 추밀원) : 종2품과 정3품 추밀은 재신가는 다음 지위로 재신과 함꼐 국정을 논했다. 정3품 승선은 국왕의 비서 기능을 함. 승선은 정3품이나 그에 걸맞는 대우를 받지 못했던 것으로 여겨짐.

③상서도성 : 상서6부를 통할하는 역할 상서성은 형식상 2품이상의 재상 관부이나 실제 지위는 추밀에도 못미쳤던 것으로 파악

④도병마사: 대외적인 국방 군사제도에 관한 일을 논의

⑤식목도감: 법제에 관련된 일을 다룸

⑥삼사 : 재정과 녹봉을 담당

⑦어사대: 백관의 규찰과 탄핵을 담당

 

고려시대 중앙정치제도의 특징

-성,시,서 등 관서 명칭이 관서의 고하와 맞지 않았다. 원래 관서의 고하는 그 관서의 최고짬(-_-;)의 따라 결정되는 것이나 실제 권력의 유무의 따라 정해진것으로 보임.(ex 상서성은 2품 이상의 재상 관부이나 추밀에도 못미치는 지위로 판단) 이것으로 보아 통치조직의 체계성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여겨지는 점.

-문산계와 무산계를 받아들였지만 제수의 대상이 다르고 관직 임명의 기준도 아니었다. 고려는 관계가 그 지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관직이 그 역할을 했는데 그것은 특권의 수혜자를 최소화 하려는 의도로 파악 가능하다.

2)지방제도

-12주에 지방관을 파견하고 향직개혁을 단행해 지방호족을 중앙관료로 흡수하려는 시도를 했다. 

성종2(983년)에 12주목에 외관을 파견했다. 이후 성종14(995년)에 12주목이 12군 절도사로 변경되어 59곳에 도단련사등의 외관이 설치되는 등 외관이 정비되었다. 이후 1005년, 1012년에 외관 명칭과 인원 조정이 있은뒤 1018년(현종9, 거란의 3차 침입이 있었찌용) 4도호부,8목,56지주군사,28진장,20현령이 설치되어 지방제도 개편이 일단락되었따.

고려 지방제도의 특징은 주현보다 속현이 많았다는 것. 이는 려말선초 호족의 통합(?)과정으로 고려가 성립되었던 특징 때문에 건국초기에는 일정기간 지방의 호족의 세력 정도에 따라 계서적 입장을 취했다. 또한 국경 지역인 양계에 일찍부터 병마사가 설치되고 외관이 많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국경 방어의 중요도 때문에 그렇다. 외관의 유무가 지방의 계서를 결정하기도 했다.

또한 군에는 외관이 없는데 현에는 외관이 있는등 행정적 체계성이 떨어졌는데 이는 호족의 대소와 당시 지배 관계를 설명해주는 근거가 된다. 즉 주요 거점에만 외관을 보내고 나머지 지역은 토착 세력에게 맡기는 제도를 실시했다.

2.교육제도 정비 - 국자감 정비 및 지방에 경학박사와 의학박사 파견, 과거제도 정비

지방호족의 자제를 교육시켜 중앙관료로 파견하기 위한 취지에서 교육제도가 정비되었다.  성종 11년(992)에 개경에 국자감을, 도서관으로 비서성을 세우고 서경에도 수서원이라는 도서권을 설치했으며, 문신월과법이라는 관리에게 시와 부를 지어 바치게 했다.

지방교육은 성종6년(987)지방의 12목에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파견했다.

3.유학자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교의 교육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임.

 

 

728x90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4. 3. 10:40
728x90

교육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성장을 전제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성장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다. 무엇이 성장이느냐에 따라 보통 성장관을 셋으로 나눈다.보통 이런 기준은 학습자와 교사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에 따른다고도 할 수 있다.

*교육을 성장으로 비유하기 이전에 주형의 비유, 성장의 비유, 대안적 비유(예술, 성년식, 만남의 비유)로 나누기도 하는데 분류 방식이 조금 모호하므로 성장이라 규정하고 논제를 풀어간 신태식 교육학논술책에 있는 분류를 그대로 썼다.

 

(1)성장의 기준이 아동의 외부에서 부과되는 것

교육에 관한 가장 전통적인 견해. 이 기준은 가르치는 교사에 의해 고정된 완성점이나 목표가 제시되고 이를 위해 학생이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충실하게 습득하는 것이다. '주형관'의 가까운 교육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관점은 교사는 전달자, 학생은 수용자의 입장을 가지고 각각의 책임에 맞게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 즉 교육의 목표가 기존의 지식체계와 신념을 잘 수용하는 인간으로 설정되는 것.  

이러한 성장관의 예로는 '사회화로서의 교육관', '성년식으로서의 교육관', '행동변화로서의 교육관'이 있다. 사회화로서의 교육관은 뒤르켐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성년식은 피터스, 행동변화는 대표적으로 정범모의 정의가 있다. 세가지 모두 아동이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까지 오르는 것을 교육이라고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유형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2)성장의 기준이 아동 내부에 자연스럽게 주어져 있는것

이 기준은 '주입으로서의 교육관'에 대한 비판을 통해 제기되어 왔으며, 아동을 식물에 비유하는 '소극적 교육관','자유방임적 교육관'으로도 불린다. .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는 민주주의적 교육관으로 루소, 로크, 코메니우스로 거슬러 올라갔다가 프뢰벨,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와 20세기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관으로 이어져왔다.

이 교육관은 인간은 자연 그대로있을때 선할 수 있으므로 교육은 선한 자연적 본성을 왜곡시키지 않는것이 일차적 목표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루소의 이 관점도 아동이 성장해가는 생득적 기질과 능력이 정해져 있다고 보았기 떄문에 완전하게 자유방임적이라고 보기는 힘들다.(듀이의 비판)

 

(3)성장의 기준이 주어져 있지 않고 열려 있다고 보는 성장관

듀이의 교육관이 대표적이다. 교육이 끊임없는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경험을 통해 새롭게 성장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교육의 목표를 인간의 구체적인 삶으로 끌어왔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삶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경험을 재구성하면서 성장하는 것이며 교육이 그러한 경험의 재구성에 도움이 되야 된다는 말이다.

지식의 습득 자체가 목표가 되는 것이 아니며, 지식은 삶의 의미를 확장시켜나가는 도구에 불과하다. 루소와 같이 전통주의적 경향에 항거했으나 루소와 다른 점은 듀이는 루소의 교육관이 기존의 전통주의 교육관의 목표인 지식을 아동 내부의 선천적 지식으로만 바꿨다고 비판한다. 즉 거칠게 말하면 내용만 바꾼 것이지 틀은 바뀌지 않았다고 보는 것. 듀이는 선천적 능력을 존중하면서 교육이 이루어진다는게 자유방임적 교육이라고 볼 수 없다고 했으며, 전통적 교과 또한 아동의 성장에 얼마든지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즉 주어지는 모든 것은 삶의 경험을 위한 도구로 볼 수 있다는 말이며 이는 듀이의 철학을 도구주의라고 불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교육을 성장이라고 할 때, 성장의 기준에 따른 3가지 성장관을 설명하고, 성장관에 따른 교육목적, 교육방법을 설명하고, 자신의 입장을 근거를 들어 논술하시오.

일단 3가지 성장관은 고만고만하니 그렇다 치고. 자신의 입장을 논술하는게 중요한 논제같다. 먼저 어느 한 교육관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성장의 기준이 주어져 있지 않고 열려 있다고 보는 성장관이 제일 매력적이다. 먼저 듀이의 교육관에 대해서 짧게 서론을 열고, 이를 옹호하는 근거로 오늘날의 현실과 유리된 학교교육의 비판과 모두가 같은 꿈을 꾸는(꿈이 뭐니? 판사요 의사요.) 대한민국에 대한 비판 후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해서 논술하고, 듀이 교육관의 문제점을 제시하고(일관된 목표가 없기 때문에 교육에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는 단점) 이에 대한 극복방안을 적은 후에. 결론으로 정리하면 무난한 논술답안이 될듯.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성교육  (0) 2013.04.07
교육의 목적  (1) 2013.04.06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0) 2013.04.05
정범모와 피터스의 교육의 정의  (0) 2013.04.02
교육의 정의방식  (0) 2013.04.01
Posted by 런닝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