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논제2013. 5. 9. 10:45
728x90

1.갈등이론

갈등이론은 기능이론과 같이 거시적 입장에서 사회를 분석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기능이론과는 대조적으로 사회의 실체를 개인과 개인 또는 집단과 집단의 끊임없는 세력다툼, 경쟁, 저항관계로 본다. 기능주의에 대한 비판과 도전으로 전개, 발전되어 왔다. 즉 기능이론의 비판점이 갈등이론의 주장이라고도 보면 얼추 맞겠다. 갈등이론은 맑시즘에서 기원한 것으로 사회의 본질이 갈등과 경쟁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같은 관점에 의하면 학교 교육은 지배계급의 지배를 정당화하고 이러한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수단에 불과하며, 교육내용도 특정계층의 지식과 가치를 형식적 교육과정에 의하여 주입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교육의 목표도 교화, 억압 등에 의한 잘못된 사회화를 교정할 수 있는 인간성 회복에 초점을 둔다.(인간해방)

 

(1)갈등이론의 기본 입장

사회는 개인간, 집단간의 끊임없는 경쟁과 갈등의 연속이다. 사회는 지배집단과 피지배집단으로 나뉘어 지배집단이 현상유지를 위한 강제가 기본적이다.

이는 희소가치(scarcity)에 원인이 있다. 사회적 희소가치인 재화, 권력, 명예, 지위 등이 희소하기 때문에 이를 둘러싼 경쟁은 영원하다는 것에 기반한다.

하지만 사회는 변화할 수 있다. 지배집단이 현상유지를 위해 합리화를 주력하지만 변동하여 급격한 혁신도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2)갈등이론의 교육적 관점

학교 기능: 갈등이론은 학교를 지배집단에 유리한 기존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여 사회 불평등 구조를 유지 심화시킨다고 본다.

학교 교육과정: 갈등이론은 학교 교육과정은 지배집단이 기존질서를 정당화 하기 위해 그들에게 유리한 가치, 태도, 규범을 교육내용으로 조직한다는 것. 학교의 교육내용은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 것.

사회화: 갈등이론에 따르면 학교에서 말하는 사회화는 지배집단에 유리한 기존질서를 정당화 하는 작업이다.

선발과 배치: 기능주의에서 말하는 학교의 선발과 배치 기능에서는 누구나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실제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경제적 배경이다. 따라서 능력주의 선발은 지배 메커니즘을 정당화하는 장치이다.

 

(3)갈등이론의 의의와 한계

①의의: 갈등론은 안정된 사회를 전제로 하는 기능론적 관점의 허구성을 깨닫게 했다. 또한 학교제도의 문제점을 사회구조와 연결해 학교교육의 사회적 성격을 해석하는데 다양한 해석의 틀을 제공했다.

②한계: 갈등론과 기능론처럼 교육을 종속변수로만 취급하는 오류를 범한다. 단순히 이분법에 따라 구조 결정론에 빠져 교육이 경제구조나 문화구조에 일방적으로 그 성격이 결정된다는 주장은 비판을 받는다.

갈등론은 개인의 실패 원인을 그의 노력이나 능력 부족으로 보기보다는 잘못된 사회구조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노력하지 않은 사람이나 무능력한 사람의 실패를 단순한 합리화의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2.갈등이론의 하위이론

(1)경제적 재생산론

보울즈와 진티스는 사회 현실에서 학교가 인간적 발달과 사회적 평등에 공헌하는가에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했다. 보울즈와 진티스는 마르크스의 이론을 빌려와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형성해 사회적 의식의 일정한 유형을 대응하는 기초로 재생산이 이루어지는 대응원리를 설명했다.

학교는 자본주의 체제를 위해 순종적인 노동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본다. 작업장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에서의 사회적 관계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으며, 학교는 학생들에게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사회 및 경제적 명령을 수용하는데 필수적인 태도와 행동성향을 가르쳐 학생들을 자본주의 경제에 편입시킨다.

이러한 교육의 사회적 관계-노동의 사회적 관계의 대응은 네가지 측면이 있다.

학생은 노동자와 마찬가지로 권력을 갖고 있지 않다. 교육은 노동과 마찬가지로 목적을 위한 수단이다. 각 개인에게 좁은 범위의 과업을 주고 경쟁을 조장해 분열을 조장시킨다. 교육의 여러 수준은 직업구조의 여러 수준과 대응하며 직업구조에 따라 사람을 준비시킨다.

경제적 재생산론은 정치 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교육현상을 구조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본 시각을 제시했으며, 학교교육의 개혁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의 평등화가 사회의 평등화로 이어지지 못한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학교를 경제적인 이유로만 분석하고 수동적인 존재로만 보았다는 한계가 있다.

 

(2)문화적 재생산이론

경제적 재생산이론이 경제적인 요인에 초점을 맞춘 것에 두었다면 문화적 재생산이론은 학교교육의 문화에 초점을 두어 집단의 문화를 재창조하고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본다. 지배집단은 겉으로 드러나는 공식적 지배의 메커니즘을 이용하지 않아도 학교를 통해 문화를 보존해 기존의 사회적 통제를 지속시킨다.

 

부르디외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지배-피지배 집단간 권력구조를 받아들이게 하는 상징체계로 본다. 지배계급의 고유의 문화를 갖듯이 피지배계급도 문화를 가지는데 학교교육은 지배계급의 문화를 가치있는 문화로 규정하는 상징적 권력이며 상징적 폭력의 도구가 된다.

부르디외는 자본을 사회적으로 영향력이나 평판을 지닌 개인이나 사회적 계급이 소유한 자원이나 특성으로 정의하고 문화적 자본, 경제적 자본, 사회적 자본, 상징적 자본으로 나누었다. 이중 문화적 자본에 주목했는데 문화자본을 세가지로 분류했다.

①아비투스 문화자본 : 교육이나 가정환경의 영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취향이나 심미적 태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개인에게 내면화되어 있는 문화능력을 말한다.

②객관화된 문화자본: 문화적 재화들, 옛 고서나 그림 혹은 골동품과 같이 법적 소유권의 형태로 존재하는 자본이다.

③제도화된 문화자본: 교육제도를 통해 주어지는 졸업장, 자격증, 학위증서와 같이 공식적으로 가치가 보장되는 형태의 자본을 말한다. 학력은 실질적 능력과 상곤없이 법률적으로 능력을 보증받는다.

부르디외는 제도화된 문화자본을 통한 재생산과 상징적 폭력을 통한 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하는데, 학교교육내용은 지배계급의 문화로 이루어져 있고, 사회적 선발의 기준이 되는 시험은 지배계급의 아동에게 유리하며, 선발과 졸업장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는 것이다. 또한 상징적 폭력을 통해 학생들에게 지배 문화가 체득되어 아비투스 문화자본이 되어 사회적 현상유지에 기여하는 것.

문화재생산 이론은 문화자본의 소유 정도에 따라 문화적 성향과 태도가 차별화 될 수 있고, 대상을 이용하는 능력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나누어진다는 점에서 사회적 지위를 재생산할 수 있는 우수한 기제이다.

그러나 문화와 문화자본의 개념이 추상적이고 애매하며 실증적 연구가 미약하고 일관성 있는 결론을 보여주지 못했다.

 

번스타인은 사회계급과 어법에 관한 연구에서 유전의 규칙보다는 사회 계급 자체가 증식시키는 언어전달체계를 통해 사회계급의 요소를 증식시킨다고 주장하는 언어문화적(?) 재생산 이론을 주장했다.

 

(3)자본주의 국가론

자본주의 국가론은 국가가 나름대로 상대적 자율성을 가지고 기존질서 재생산에 기여하는 장치로 보는 입장이다. (네오마르크시즘적 입장. 기존 맑시즘은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결정한다는 입장)

자본주의 국가론에서는 상부구조의 두 가지 국가기구(억압적 국가기구,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 나누었다. 학교는 이데올로기적 지배기구로 지배이데올로기와 가치뿐만 아니라 기존의 생산수단 유지를 위한 지식과 규범을 전수함으로써 지배질서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4)문화적 제국주의론

카노이 등이 주장한 문화적 제국주의는 교육의 국제적 관계를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식민지의 교육이 식민지 국민의 의식을 어떻게 왜곡시켜 지배자들에게 복종하도록 만들었는지를 밝히려고 했다. 즉 문화식민주의는 한 사회가 다른 사회에 종속되는 원인을 문화적 교육차원에서 찾는다. 식민 통치자들은 학교교육을 통해 지배의 토대를 마련하고 이를 강화했다.

 

(5)애플의 문화적 헤게모니론

애플은 경제결정론을 부정하고 헤게모니를 통해 재생산 과정을 설명했다. 학교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위계관계, 상벌관계, 권위주의적 억압에 순종하도록 조장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애플은 학교의 상대성과 사회적 재생산의 한계도 지적했다. 학교 내부의 동적인 면에도 주목해 학교민주화를 통해 사회발전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6)저항이론

저항이론의 기존의 갈등이론에서 학교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을 반영하는 곳이며, 학생들이 문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장소라는 명제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기존 학교의 재생산기능에 대해 저항이론은 몇몇 집단이 저항을 하고 저항 행동위 자체가 불평등의 재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 저항집단의 가치관 속에서 해방적인 교육의 씨앗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저항이론은 피지배집단의 일상적인 경험 속에 지배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극복할 수 있는 잠재적 힘이 있으며 학습자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스스로 체득한 세계관을 통해 지배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재생산의 메커니즘은 불완전하며 교육은 사회구조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수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자율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론과 교육  (0) 2013.05.08
전통유가사상과 교육제도의 발달  (0) 2013.05.06
삼봉 정도전과 조선의 건국이념  (0) 2013.05.02
몬테소리  (0) 2013.05.01
프뢰벨  (0) 2013.05.01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5. 8. 18:25
728x90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설명하는 학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교육의 사회적 과정과 사회제도로서의 성격을 설명하는 학문이다.

교육사회학에 접근할때 일종의 틀인 패러다임을 가지고 접근한다. 그러한 틀은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거시적 관점은 사회를 하나의 실체로 보고('사회실체론') 분석 대상을 개인보다 사회에 두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스펜서-뒤르켐-베버-파슨스의 기능이론과 이에대한 비판인 갈등이론이 있다. 미시적 관점은 실제의 학교사회, 교실사회 등 작은 집단을 분석해 그 자체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미시적 접근은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이에 대해 표로 나누면 

 

 분석수준

 이론적 관점

 거시적 접근

 사회(구조), 제도, 조직

 기능이론(및 하위이론), 갈등이론( 및 하위이론들)

 미시적 접근

 소집단, 상호작용, 역동성

 신교육사회학, 민속방법론, 상호작용론, 현상학

 

1.기능이론의 발전과정

기능이론은 구조기능주의 이론, 합의이론, 질서이론, 균등이론, 급진주의이론, 사회재생산이론, 종속이론, 저항이론까지 연결짓는다.

 

2.기능이론의 이론적 기초

(1)사회유기체설

기능이론은 콩트,와 스펜서가 제시한" 사회유기체설"을 이론적 바탕으로 한다. 뒤이어 뒤르켐이 이론적 근거를 발전시키고 사회학 이론으로서는 파슨스가 구축했다.

 

사회유기체설은 사회를 하나의 생명체로 본 것이다. 사회를 하나의 전체로 보고 그 안에 구성된 개인들은 각각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즉 사회의 본질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 또는 부분의 집합으로 구성된 시스템이며 부분이 전체의 생존과 존립에 공헌하고 있는 관계이다. 따라서 사회를 구조와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 더 나아가 사회 구성원간의 합의와 통합을 보려고 한다.

이는 사회가 해체되지 않고 응결,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사회질서 때문이라고 분석했으며, 이것은 사회구성원간의 자율성과 상호의존성 때문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3.기능이론과 학교교육

기능이론은 주로 학교교육이 사회전체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기능한다고 보는 순기능을 강조한다.

학교에서 다루는 교육과정은 보편적인 것으로 누구나에게 의미있고 가치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교육목표의 설정, 내용의 선정과 조직, 평가 등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교육목적을 사회화에 두고 교육이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한다고 보았다. 사회화란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 및 사회적 규범을 개인에게 내면화시켜 구성원으롯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중요한 기능으로 평등한 교육은 공정한 사회적 선발을 통해 사회평등에 기여하며 사회적으로 인력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게 해준다.

기능주의에서는 현대사회를 능력주의 사회, 전문가 사회, 민주사회로 규정하고 있다.

4.교육의 사회화를 바라보는 학자들의 의견

(1)뒤르켐

뒤르켐은 학교교육에서 도덕교육이 중시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뒤르켐은 도덕교육을 통해 사회 구성원간 협의가 형성되고 자신의 집단에 충실할 수 있다고 했다.

(2)파슨스

파슨스는 학교의 기능은 사회화를 통한 사회적 안정, 통합, 합의의 증진에 있다고 했다.

(3)드리븐

드리븐은 '상황별로 구체화된 행동의 표준으로서 개인들이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여야 하는지는 지시하는 원칙, 전체 또는 기대들'이라고 사회화를 정의했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드리븐은 독립의 규범, 성취의 규범, 보편주의의 규범, 예외의 규범이라는 주요 규범을 배운다고 했다.

독립의 규범은 아동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책임감을 느끼고 다른 사람들이 행위자에게 책임을 지울 수 있따는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인식할때 나타나는 학습이다.

성취의 규범은 자기의 노력이나 의향에 의해서보다는 성과에 따라 대우받는 것을 배우는 것

보편주의의 규범과 예외의 규범은 비교의 기초가 되는 어떤 기준에 따라 대우받는 것이다. 즉 보편주의의 규범과 예외의 규범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4)하그리브스

하그리브스는 학교가 자아실현, 개인의 성장 등을 내세우며 개인주의를 가르친 결과 무규범 상태가 만연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는 교육을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면 수학여행이나 학교캠핑 등 공동생활을 통한 연대의식의 함양이다.

5.기능론의 하위이론

(1)근대화이론

사회심리학자 맥클리랜드에 의해 체계화 된 근대화이론은 사회 경제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 개인에게 근대적 가치와 행위가 전수되어야 하며, 학교교육은 태도,가치관,신념에 영향을 주어 근대적 행동양식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근대화에 기여한다는 주장이다.

 

(2)기술기능이론

1950년대 클라크와 커가 산업사회에 있어 교육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이론이다. 기술시대는 숙련된 기술자와 전문가를 필요로 하며, 학교가 이러한 숙련된 기술자와 전문가를 양성해 사회 유지와 발전에 기여한다고 보는 이론이다. 따라서 학교는 산업사회의 핵심장치라고 볼 수 있다. 한 사회의 기술수준이 높아지면 그에 따른 기술의 요구 수준도 높아지기 때문에 학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대졸자들이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수준의 일을 하거나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일을 해 실업자로 전락하는 등 과잉학력현상이 나타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3)인간자본론

T.슐츠에 의해 체계화된 이론으로, 교육은 인간자본에의 투자이며, 인간이 교육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갖추게 될 때 생산성이 증가하여 인간의 경제적 가치가 증가하게 된다는 입장이다.

이는 좋은 교육을 받은 노동자가 좋은 직업과 높은 소득을 얻게 된다는 의미이며, 따라서 현재의 소득을 포기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교육투자를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런 교육이 국가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누구나 좋은 교육을 받으면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으므로 교육으로 계층의 상승이동이 가능하며  학교교육의 임금상승 효과가 누구에게나 동일하므로,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면 계층간 불평등이 줄어들어 사회평등을 이룰 수 있다. 즉 교육의 기회확대는 결과의 평등까지 낳는다는 입장

이러한 인간자본론은 교육이 개인의 생산성 증가를 가져 올 뿐만 아니라 사회의 경제적 발전에 대한 연관성도 강조해 교육에 대한 투자를 확대시키는데 기여했다.

6.기능론적 교육관의 한계

(1)기능론은 학교교육을 종속변수로 취급한다. 사회의 영향에 따라 변한다는 피동적 입장. 그러나 학교는 때로 능동적 역할을 하며 사회에 영향을 끼친다. 또한 겨사와 학생도 학교가 정한 목표에 자율적으로 임하거나 때로는 그것을 수정하기도 한다.

(2)긴능론은 수동적 아동관을 지니고 있고, 아동들은 사회화의 대상이기에 사회가 던져주는 사회화의 목표를 수행해 가야하는 존재다. 그러나 개인별로 사회화를 수용하는 차이가 있으며 개인에 따라 사회화의 목표나 내용을 수정하거나 거부, 저항한다.

(3)교육에서 사회화 못지않게 중요한 다양성, 개성, 자유, 학습의 기쁨의 향유 등을 과소평가한다. 기능론은 교육의 사회화, 선발, 지식전달 등을 통해서만 사회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4)기능론은 기회 균등, 업적주의, 경쟁적 사회이동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의 출발선이 같은 것은 아니며 이러한 전제는 사회 하층의 불행을 정당화하고 소홀히 다루게 했다.

(5)학교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을 과신한 나머지 과잉교육현상이 나타난다.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이론  (0) 2013.05.09
전통유가사상과 교육제도의 발달  (0) 2013.05.06
삼봉 정도전과 조선의 건국이념  (0) 2013.05.02
몬테소리  (0) 2013.05.01
프뢰벨  (0) 2013.05.01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5. 6. 09:09
728x90

1.춘추전국시대와 유가의 성립

유교는 춘추전국시대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성립되었다. 이 시기에는 봉건 질서가 무너지고 옛 씨족 공동체가 파괴되어 지방 각지에서 세력들이 난립하고 있었고, 각자 부국강병을 도울 인재를 원했다. 이것이 사회 구성원의 신분 상승 욕구와 맞물리며 새로운 지식의 형태가 요구되었고, 그 결과로 다양한 학문적 입장들이 난립했으며 이들을 제자백가라고 부른다.

 

특히 유학은 현실적이면서도 개혁적인 이상을 추구하는 학파로 춘추시기 이전 서주시대의 정치질서를 이상화하는 입장이었다. 종법제도와 봉건제도에 기반을 둔 군주중심의 도덕적 정치로의 회복을 주장하며, 하극상적 혼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역할을 바르게 할 것을 주장했다.

즉 춘추전국시대의 정치상황은 덕이 없는 시대(무도지계)이며 이러한 혼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예와 악으로 교화를 통해 이전시대로의 질서를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가에서는 정명론을 제시하는 등 사회의 각 계층을 규정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인간관계를 규정해놓았다. 그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인(仁)이다. 또한 이러한 인을 행하게 하는 인간적인 본질은 효와 자이다. 이러한 효와 자를 바탕으로 인을 체득해 행하는 인간을 군자라고 칭했으며, 자기 수양의 결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유교는 개인적 수양뿐만 아니라 수기치인을 기본 이념으로 했으며 이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로 나타난다.

 

 

2.유교에서 과거제도와 관학의 취지[각주:1]

(유가는 학문적이론적 영역으로 대변되는데 비해 유교는 실천적 교화적인 목적으로 갖는다는 차이점이 있겠다.)

유교에서는 치자의 학문이라는 점, 국왕을 점적으로 하는 봉건체제를 이상화하는 점이 정치이념과 관련이 깊다. 이러한 주장은 왕권강화를 위한 이데올로기 기반으로 기능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가에서 관학을 두고 후대의 유교국가는 과거제도의 실시했다. 이것은 국왕권 혹은 군권의 강화와 관련되는데 관료제를 통해 중앙집권적 통치 및 지방 호족들을 왕 아래에 일원적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즉 유교적 교육제도 또한 왕권강화와 관련해 의미가 매우 컸던 것이다.

 

3.유학의 목적과 학습방법

유학은 높은 수준의 도덕적 수양과 지적 체득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시대별로 많은 학자들이 유학의 목적을 정의했지만 도덕적 수양을 가장 근본적 목적으로 제시했으며 따라서 그 방편으로 도덕에 대해 정의하고(오륜, 오상 등등) 그것을 수양하는 법을 논한 것이 많았다. 또한 이러한 것을 실천하기 위해 교육도 강학과 제향공간으로 구분해 실시했다. 강학은 교수학습 공간, 제향은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서원을 떠올리면 될듯) 제향 공간은 유교적 교육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잘 드러내는 것으로 이 공간이 지니는 의미는 동양적 스승관과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유학에서는 자발성을 중요시해 조장을 하지 않았으며, 하학상달의 학습원리가 적용되어 구체적, 일상적에서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하며, 기본적 경전을 학습함에도 순서가 있고 온고지신의 원리가 강조되었다.

 

4.유학의 의의와 한국에 준 영향

유학은 기본적으로 수기의 학문이지만 치인을 위한 학문이기도 했다. 이것은 한중일을 비롯한 국가적 유교 문화 형성의 바탕이 되었다.

유학은 그 시대적 발전에 따라 맥을 같이 한다. 한자와 유교의 도입은 제도적 교육성립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제도교육의 형성과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기본적으로 유교사상은 도덕적 이상의 실현, 나아가 전체적 인간 이상의 실현을 지향한다. 그러한 방편으로 수기한 후 치인할 것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러한 논리는 국가 관료제 형성의 이데올로기적 기반과 왕권 강화에 이용되게 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유교의 교육적 성격을 이해해야 할듯.

  1. 신태식교육학에서는 유가사상과 제도교육의 발달이라고 제목을 설정하면서 유가사상과 유교에서 과거제도와 관학의 취지, 유학의 목적과 학습방법이라고 소제목을 나눠놨는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유가사상과 유교, 유학은 비슷한 말이지만 뉘앙스 차이가 엄연한데 이렇게 써놓는건 적절치 못한듯. 단순히 유교가 국교화된 한나라때에도 과거시험이 실시된건 아니니까. [본문으로]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이론  (0) 2013.05.09
기능론과 교육  (0) 2013.05.08
삼봉 정도전과 조선의 건국이념  (0) 2013.05.02
몬테소리  (0) 2013.05.01
프뢰벨  (0) 2013.05.01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5. 2. 01:17
728x90

宰相之職 臣於治典論之矣 然爲宰相者得其君 然後道行於上 而惠及於下 身榮於前 而名顯於後 而君臣之相遇 自古以爲難也(중략……)噫 臣之遇君誠難 而君之遇臣亦難矣 方今明良相遇 誠意交孚 相與共圖 維新之政 千百年之一盛際也 於是作宰相年表 獨書侍中者 亦以見冢宰之兼衆職 而人主之職 在擇一相 百執事以下不與也

-삼봉집-

 

해석: 재상의 직은 신이 치전에서 논했습니다. 그러나 재상이 되는것은  그 군주를 얻고, 도가 그 위에 행해지고 은혜가 아래에 미쳐 앞에 모엔 영화가 있으며 뒤에는 현명한 이름이 남을 것입니다. 따라서 군신의 만남은 옛부터 어렵게 여겨졌습니다. (중략) 아. 신하와 군주의 만남히 지극히 어렵고 군주와 신하가 만나는 것도 역시 어렵습니다. 지금 진심으로 서로 만나 마음을 다해 교류하니 서로 함께 공도를하고 유신지정을 하니 천년에 한번 있을까 합니다. 재상연표를 만드는데 홀로 시중을 적는것은, 또한 총재는 여러 직을 겸임하고, 인주(임금)의 직은 하나(재상)를 선택하는데 있으니 모든 일을 아래와 더불지 않는 것입니다.

(사료는 임용고사 역사 2005년 기출. 고전종합DB에있는 삼봉집을 아무리 뒤져봐도 저 문항을 찾을 수가 없었다. -_-... 어디 나와있는 걸까.삼봉집 9권 경제문감 재상의직에 있을것 같았는데 아니다. 어디 있는 것일까. 해석도 나같은 초보가 하기엔 어렵다.) 

위 사료는 유교사상에 입각한 인정사상을 먼저 논한 후에 좋은 군주와 신하가 만나기는 어려운 것을 논하고. 어떤 방식으로 골라야 하는지 논했다. 왕은 재상을 임명하되 다른 정사에는 간여하지 않는 것을 주장했는데(폼떨어진다.. 그런 이유? ㅋㅋ). 이는 재상정치, 의정부 서사제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료의 답으로 의정부 서사제를 논하는 것은 엄밀히 틀린 것. 의정부는 방원이 제2차 왕자의 난(1400)을 평정하고 세자로 책봉된 직후에 사병을 혁파하고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를 세우고 방원이 즉위 후에 본격적으로 6조 직계제를 실시한 것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즉 태조때는 도평의사사에서 재상정치를 행했던 것. (교과서에는 태조 때의 정치가 태조와 정도전 조준 등 소수의 재상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서술하고 있다.) 덧붙이면 정도전의 재상정치는 왕권을 강화하는 측면도 있지만 이는 공권적인 측면이다. 왕은 왕으로 군림하지만 사관의 감시를 받으며 공적인 권력만을 휘두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어쨌든 사료에서 말하는 군주는 태조, 재상의 직책은 도평의사사의 재상인 재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개국직후 정도전의 관등 및 관직 은 보국숭록대부 문하시랑찬성사 겸 의흥삼군부사 동판도평의사사사 ............. 쭈욱 많은데 이런걸 답으로 요구하지는 않겠지.?) 그리고 유신지정이란 재상에게 실권을 부여해 왕도를 실현하는 재상 중심의 정치를 일컫는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국정을 재상이 총괄하며, 군주상징적인 존재로 남는 정체를 의미한다.

 

해제: 간단하게 정도전이 쓴 글을 모두 모아서 엮어낸 책이라고 보면 된다. 삼봉집은 조선 건국 이념연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사료이기도 하다. ≪삼봉집≫은 1397년(태조 6) 정도전이 살아 있을 때 그의 아들에 의해서 2권으로 간행된 일이 있다. 그 뒤 1465년(세조 11) 그의 증손에 의해서 6책으로 중간되고, 다시 1486년(성종 17) 8책으로 증보되었다.

그러나 지금 전하는 ≪삼봉집≫은 1791년(정조 15)에 왕명으로 다시 간행한 책으로서, 구본(舊本)에 누락된 진법(陣法)과 시문을 수록했으며, 정도전의 사실(事實)에 대한 기록을 보완하고 편차를 다시 분류해 14권 7책으로 만든 것

삼봉집에는 그가 쓴 여러가지 잡다한 글부터 조선경국전, 고려국사, 경제문감, 학자지남도, 팔진36변도보 등 사상적,정치적,군사적 이념들이 담겨있다.

이를 통해 조선의 건국이념의 실현라고도 볼 수 있는 유교적 왕정과 중앙집권 관료체제의 과정에 대해서 생각 해 볼 수 있다.

 

신유학의 수용: 고려후기 신유학(성리학)이 수용되면서 그것의 정치적 이념도 같이 수용되었다. 신유학은 이상적인 백성의 삶을 개선하여 보장하는 것은 왕정의 임무로 규정했으며, 그것을 인정이라고 했다. 즉 민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왕의 임무라는 것이다. (성리학의 형이상학적인 이념이 드러나는 대목) 이런 취지에서 민본사상-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라는 이념-이 등장했다.

고려말 시대적 배경: 14세기부터 기존의 권력기반과는 다른 사대부-관료, 지식인-층이 대두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혁신적이고 현실비판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공민왕때 본격적인 개혁정치가 실시되었을때 이들 사대부층도 많은 부분에 간여했다. 공민왕의 개혁정치는 비록 실패했으나 이때부터 사대부층이 본격적으로 정계에 진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홍건적의 난과 왜구의 침입등을 격퇴하며 성장한 신흥 무인세력(최영,이성계)등과 함께 짝을 맞추면서 개혁을 진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성계가 권력싸움에서 승리하고 이를 보좌한 정도전과 조준, 남은등(급진파, 역성혁명파 사대부)이 측근 52명을 규합해 이성계를 왕위에 올리게 된다.

정도전의 건국이념: 정도전은 1394년 조선경국전에서 국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했는데 새 왕조는 유교의 성현의 정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 주역의 인정론에 근거해 새 왕조의 왕위는 만물을 생성시키는 천지의 덕을 본받아 인정을 행해 천하 사방의 사람들이 기쁜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성인의 정치를 행한다는 것을 천명했다.

 

... 조선의 중앙관제의 정비에 대해서는 담번에 싹 정리해봐야겠다.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론과 교육  (0) 2013.05.08
전통유가사상과 교육제도의 발달  (0) 2013.05.06
몬테소리  (0) 2013.05.01
프뢰벨  (0) 2013.05.01
페스탈로치  (0) 2013.04.29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5. 1. 09:38
728x90

1.몬테소리의 생애

 

몬테소리는 이탈리아 로마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한 정신과 의사로 정신박약아를 치료하면서 교육 문제에 인식했다. 이후 어린이 집에서 아동교육에 적용된 과학적 교육방법, 몬테소리 교육법 등으로 책을 출판했다.

 

2.아동관

몬테소리는 아동을 무한한 잠재능력을 지닌 존재로 보았으며, 스스로 자신의 잠재능력을 전개해 나간다고 보았다. 또한 선천적으로 특유한 정신적 본성을 지니고 태어나며, 성인에 의해 배우기보다는 아동 자신이 스스로 환경과 접하면서 경험을 통해 배운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아동은 성인의 축소형이 아니면 그렇게 취급되어서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즉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유아의 특성을 제시했는데,

유아는 주변 환경의 모든 것에 흥미를 가지고 집중하면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흡수정신을 가지고 있다.

유아기는 흡수정신이 왕성하게 나타나는 민감기이다.

유아는 스스로의 힘에 자기 교육을 이룩한다.

유아는 자기교육은 준비된 환경을 필요로 한다.

 

3. 교육관

몬테소리는 어린이의 전인적 성장, 주변환경에 적응, 인간적인 관계에서 사회적 요구를 받아들이고 정상화 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정상화(namalization)이론은 어린이가 작업에 진정한 흥미를 가지고 만족감을 느낌으로써 자신의 내적 훈련과 자신감을 발달시키고 목적 지향적인 작업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을 말한다. 즉 그러므로 작업의 중시와 작업에 쓰이는 교구를 중시했다.

한편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교사를 director로 표현하며 어린이의 심리적 활동과 신체적 발달을 지도하는 일을 해야 하나 아동이 작업에 집중하면 방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유가사상과 교육제도의 발달  (0) 2013.05.06
삼봉 정도전과 조선의 건국이념  (0) 2013.05.02
프뢰벨  (0) 2013.05.01
페스탈로치  (0) 2013.04.29
국민교육체제의 성립과 발달  (0) 2013.04.27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5. 1. 09:21
728x90

1.프뢰벨의 생애와 업적

프뢰벨은 독일의 교육학자로 유치원의 창시자로 유명하다. 프뢰벨이 유아교육에 끼친 영향력은 지대해서 영어권에서도 유아교육에 대한 용어는 독일어로 된 용어들이 많이 쓰인다. 프뢰벨은 페스탈로치의 모범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하던 도중 교직에 평생을 바쳐야겠다고 결심했다. 프뢰벨은 국가가 모든 아동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된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위해 1816년 보편적 독일 교육기관을 설립해 교육활동을 본격화했다.이후 1846년 세계 최초의 유치원을 열었고 이후 유치원 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는 교육관을 바탕으로 교육계획에 대한 포부를 세운 『인간교육론』(1826), 유치원 설립 3년후에 발간한『엄마와 아기의 노래』(1829)가 있다.

 

2.프뢰벨 교육사상의 기초

(1)만유재신론

프뢰벨은 페스탈로치의 영향, 독일 낭만주의, 기독교의 영향을 받아 만물에 신의 본성이 깃들어 있는 만유재신론을 내세웠다. 신은 만물의 근원이며 만물에 존재하고 만물을 소생시키며 만물을 지배한다. 신은 만물의 내부에 있으며 신성이 신의 창조적 에너지를 지니고 있어 자기 활동을 하며 자기를 완성해 나간다고 주장했다.

 

(2)통일의 원리

만물은 하나의 개체이기도 하지만 신의 세계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신이 창조한 만물은 신성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유기체를 이루며, 모든 개체는 보다 높은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통일성을 이루며 존재하게 된다. 

 

3.프뢰벨의 교육목적

(1)일차적 목적

일차적 목적은 인간 내부에 있는 신성인 진,선,미의 합일을 이루는 것이며 

(2)이차적 목적

인간의 타고난 신성을 조화롭게 발달시키게 되면 신성의 보다 높은 차원인 사회와 조화를 이루게 되며 나아가서는 신과 통일을 이루게 된다. 그리하여 인류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인간을 만드는 것이다.

 

 

4.교육의 원리

 

(1)통일의 원리

범신론에 기초해 만물의 사명을 자기 내부의 신성을 외부에 표현하는 것이라 하였으므로 교육은 만물을 절대자와의 통일까지 발전시키는 것

(2)자기활동의 원리: 프뢰벨은 아동의 자기활동을 신성의 표현으로 보고 창조적인 것으로 파악했다. 따라서 교육은 아동이 자신의 의지와 흥미에 따라 본성을 표현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3)놀이의 원리: 놀이란 아이들이 자기의 내적 세계를 스스로 표현하는 것. 아동기의 가장 순수한 정신적 산물이며 인간생활 전체의 모범이라고 보았다. 놀이를 통해 감각은 물론 정신과 감정의 도야를 이루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교사는 놀이에 의해 어린이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고 창의적인 정신을 촉진하며, 협동적인 사회관계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4)은물의 개발

은물은 부모나 하느님이 주는 은혜의 선물이라는 뜻으로 단순한 놀이 기구가 아닌 철학적 의미를 갖는 교육용 장난감을 말한다. 은물은 아동의 발단단계별로 계열화 되어 있다. 처음 것은 털실로 된 공, 둘째는 나무로 만든 구, 6면체 원통, 셋째는 8개의 작은 6면체로 된 나무 6면체, 넷째는 6면체를 여러 개로 나누어 나이가 든 아동들이 그 형태를 여러 가지로 바꾸어 비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5)노작의 원리

프뢰벨은 노작을 인간생명의 창조적이며 본질적인 활동으로 어떤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활동으로 보았다. 신성을 간직하고 있는 인간은 노동을 통해 자신의 내적 본질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유아의 당순한 생명활동을 위시하여 삶을 위한 모든 활동과정이 노작의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6)연속적 발달의 원리

인간의 생활이나 성장은 각 단계에 있어서 끊임없는 연속과 계속이므로, 단절이나 비약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 단계인 유아기가 중요하며, 현재 교육은 장래 생활의 준비가 아닌 현재의 자기 발달에 충실한 것이 되어야 한다.

 

5.프뢰벨 교육론의 특징

(1)현재의 발달을 위한 교육

프뢰벨은 인간 발달의 원리를 통해서 아동의 현재 교육이 장래 생활의 준비를 위한 것이 아니라, 현재의 자기 발달에 충실한 것이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2)유아교육의 강조

프뢰벨은 인간 발달에 있어서 가장 발달의 양이 많은 유아기의 발달이 충족되어야 그 다음의 단계가 발전할 수 있으므로 유아기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론을 전개한 프뢰벨은 세계 최초로 유치원을 만들어 자신의 이론을 실천하려 했다.

 

프뢰벨의 사상에서는 기초적인 만유재신론과 통일의 원리와 함께 유아교육을 강조한다는 것을 생각해 아동 중심적이고, 놀이, 노작교육을 주장했고 따라서 은물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이야기 한 것을 상기해야 할듯.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봉 정도전과 조선의 건국이념  (0) 2013.05.02
몬테소리  (0) 2013.05.01
페스탈로치  (0) 2013.04.29
국민교육체제의 성립과 발달  (0) 2013.04.27
자연주의 교육과 루소의 교육관  (0) 2013.04.27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4. 29. 11:29
728x90

1.페스탈로치의 생애와 활동

(1)생애

1746년 스위스 태생. 1771년 노이호프에 농민학교를 세웠다가 실패했다.[각주:1] 이후 스위스, 독일 등에서 학교를 세워 교육에 전념하다 만년에 노이호프로 다시 돌아와 저술활동을 펼쳤다. 그의 사상은 루소의 영향을 받아 자연주의적 이상을 추구하는 것이었으나 칸트의 영향 등으로 자신의 교육적 실천에 맞게 변형해 활용했다.

 

(2)저서

①《은자(隱者)의 황혼 Abendstunde eines Einsiedlers》(1780) : 농민학교 운영에 실패한 후 쓴 교육선언

②《린하르트와 게르트루트 Lienhard und Gertrud》(1781~1787) : 가정교유그이 중요성을 역설한 교육소설. 악의 추방과 가난의 근절을 주제로 한 농촌소설.

③《인류발전에 있어서 자연의 운행에 대한 나의 탐구 Meine Nachforschungen über den Gang der Natur in der Entwicklung des Menschengeschlechts》(1797) :페스탈로치의 근본적인 철학적 인간학적 사상이 담기 저서

④《게르트루트는 어떻게 그의 아이들을 가르치는가 Wie Gertrud ihre Kinder lehrt》(1801) : 교육방법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전개한 또한 만년의 저서
⑤ 《백조의 노래 Schwanengesang》(1826) : 교육이상으로서 전인적(全人的)·조화적 인간도야의 입장을 읽을 수 있다. 이들 저서에는 인간성에 대한 깊은 신뢰와 신(神)에 대한 순수한 신앙이 그의 생활과 사상의 바탕이었음이 잘 나타나 있다.

⑥<<직관의 abc>>(1803) : 직관교육에 토대를 둔 아동교육법을 서술한 책이다.

 

2.페스탈로치의 사상적 견해

페스탈로치는 당시의 유럽 사회를 분석하여 계층간의 불평등에 대해서 조사하고 이를 해소하는 것은 교육만이 할수 있다고 주장했다. 민중에게 바른 지성을 기르게 하면 민중은 스스로 그들의 힘과 지성을 높이려고 한다는 것이다.

(1)교육에 관한 기본적 견해

페스탈로치는 기본적으로 루소의 입장을 수용했다. 교육은 일차적으로 아동 개개인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정신 발달의 일반적 과정에 관한 지식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 이상적 학교는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인간으로서의 보편적 특성이 다같이 올바르게 존중되어야 하는 그런 곳이어야 하며, 모범적인 본은 가정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교사는 아동의 자연적 성장을 도와주고 아동이 사회안에서 신분과 능력에 알맞는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추어 주어야 한다.

(2)루소 교육원리의 수정

페스탈로치는 루소의 중요한 교육원리를 받아들였지만 루소가 교육은 아동 개개인의 직접적 경험의 결과라는 소극적 입장인 것과 달리// 칸트의 영향으로 교육이 아동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다는 적극적인 입장을 취했다. 

루소는 교육을 아동 개인의 직접적 결과로 보는데 //페스탈로치는 교육이 아동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다는 적극적 입장을 취했다.

루소는 탁월한 능력을 둔 이상적 가정이 필요하다고 보았지만 //페스탈로치는 평범한 농부의 가정도 훌륭한 교육의 장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루소는 학교를 부정한 반면, //페스탈로치는 학교가 가정의 본을 따라 개조되면 가정에서 시작된 교육을 자연스럽게 이어나갈 수 있다고 보았다.

루소의 개인주의, 개인중심 교육과는 달리 //페스탈로치는 인류 전체의 발달과 개체로서의 인간의 발달 사이에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보았으며, 아동은 지적 정신적 성장의 자극을 위해 사회에 의존해야 된다고 보았다.

루소는 교사의 임무를 정원사에 비유했지만, //페스탈로치는 아동과 사회를 연결하고 아동을 성인의 수준으로 끌어 올려 주어야 하는 존재로 보아 교사의 역할을 더 중시했으며 교사가 이를 위해 '교육의 대기술'을 가져야 한다고 보았다.

 

3.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1)교육목적

인간의 자연적 본성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태어날때 가진 자연적 본성 중에서 세 가지 가치있는 것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지적 능력, 생산적 작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술적 능력, 선하게 되려고 노력하는 도덕적 능력이다. 이는 머리(head), 손(hand), 가슴(heart)- 3H의 작용에 상응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지적교육, 노작교육, 도덕교육을 해야 된다고 보았다. 이런 교육을 통해 인간을 개혁하면 사회가 개혁된다고 보았다.

 

(2)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아동의 필요를 기준으로 결정되는데, 아동이 성인의 수준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명확한 관념이다. 이는 사물의 수, 형태, 이름 (수.형.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 수의 요소에 대한 수업(산수). 2. 형태의 요소에 관한 내용(그리기와 쓰기). 3. 이름과 그 이름에 담겨 있는 관념에 관한 수업(언어수업)이 필요하다.

 

(3)교육방법

①합자연의 원리

페스탈로치는 자연에 의한 교육, 자연법칙에 따르는 교육을 주장했다. 즉 인간교육도 안에서 밖으로, 천천히,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내적인 본성, 심리학적 발달순서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②방법의 원리

모든 인간의 지적 도덕적 발달은 그 기초에서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끝으로 이것을 통합해야 한다는 원리.(합자연의 원리와 뭐가 다른...거....지?) 도덕성의 발달단계는 무율, 타율, 자율 순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③자발성의 원리

학습자 내부의 잠재력을 밖으로 끌어내 계발시키는 원리이다. 아동의 능력을 내부로부터 스스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므로 교육은 아동의 자기활동에 토대를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교육의 초점을 '아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두고 발달단계에 맞게 자극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④직관의 원리

사물에 대한 인식은 사물들을 감각으로 인식하는 '막연한 감각인상'에서 출발하므로 모든 수업의 시작은 아동이 개별적인 사물과 직접 접촉하여 이를 구분하는 '직관교육'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직관의 기본요소는 수.형.어 이며 3요소가 모든 인식의 기초를 이룬다. 직관교수의 단계는 각 개체를 다른 개체와 구별하여 확실히 지각시키고, 현상과 윤곽을 파악해 형의 관념을 얻게 하고, 언어에 의해 명확히 표현하도록 한다. 이러한 인식론은 교육의 계열과 범위에 대한 교안을 제안했다.

 

⑤사회의 원리(생활공동체의 원리)

유아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가지게 되는 신뢰, 사랑, 감사, 의존등의 본능적 감정이 도덕생활의 기본이 된다고 보고 가정교육을 중시했다. 모자간의 애정,신뢰감의 확산을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국민으로서의 자질이 고양됨과 동시에 인류복지의 공헌으로까지 확산된다고 보았다.  - 가정교육의 중시

⑥노작교육의 원리(기능적 능력의 계발)

'생활이 도야한다'라는 말을 했듯이 노작교육을 중시했다. 이는 인간의 기능적 능력(HAND)의 계발을 위해 필요한 것. - 노작교육의 중시 

⑦일반도야의 원리

모든 인간은 인간으로서의 삶을 위해 직업이 필요하다. 직업은 인간으로 하여금 가정 외에 영역에서 활동하고 독립심을 경험하게 한다. 그러나 인간교육이 중시되어야 하며 인간교육의 바탕위에 직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4.가정교육, 노작교육, 평등교육론

(1)가정교육의 중시

가정은 교육의 출발점이며, 중심이되는 곳을 가정에서의 어머니와 아이와의 관계로 보았다. 가정은 기초적인 3R교육과 함께 도덕교육의 터전이다. 또한 직관교육을 위한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

(2)노작교육(기술교육)

수.형.어에 대한 교육은 사회 생활을 위한 준비의 일부분일 뿐. 이러한 지식 훈련은 기술 훈련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노작교육은 경제적 수익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가치가 있는 것이다.

(3)평등교육론

페스탈로치는 교육은 대중을 위한 자연적 권리이며, 천한 계층의 어린이도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모든 인간은 평등하고 교육에 의해 발전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특정 신분이나 직업을 가진 인간을 만드는 것이 아닌 인간성의 실현을 교육의 목표로 삼을 것을 주장했다.

5.교육사상의 영향

①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은 나토로프의 사회적 이상주의 교육학설에 영향을 미쳤다.

②직관주의와 교수단계설의 기초가 되어 있는 심리주의적 경향은 이후 교육심리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③객관주의 사상은 직관교수에 큰 영향을 미쳤다.

④교육의 목적을 인간의 개선에 있다고 보아 인도주의와 민주적 교육의 발전에 기여했다.

 

 

페스탈로치는 루소의 교육사상을 받아들였지만 거기에 적극적인 교육과 사회와의 조화를 더해 후대의 교육사상들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위의 교육사상의 영향에 적힌 직관주의, 교수단계설, 교육의 목적(사회 기여, 평등, 인도주의 등등)을 중심으로 페스탈로치를 이해하면 더욱 좋을 듯. 인간에게는 3H가 있으며 이를 길러주기 위한 수형어의 교육.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작교육. 그리고 합자연, 방법, 자발성의 원리에 따른 아동의 상태에 맞는 교수단계설. 교육의 목적을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와의 조화라는 사회의 원리를 통해 가정교육, 평등교육을 주장했다. 이러한 특징이 있지만 가장 두드러진 것은 페스탈로치의 기본적인 바탕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라는 점. 그것에서 모든 사상이 출발한다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함. 그리고 이러한 페스탈로치의 사상이 신인문주의에 속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음.

  1. 두산백과에 1771년으로 소개됨 [본문으로]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테소리  (0) 2013.05.01
프뢰벨  (0) 2013.05.01
국민교육체제의 성립과 발달  (0) 2013.04.27
자연주의 교육과 루소의 교육관  (0) 2013.04.27
로크와 코메니우스  (0) 2013.04.25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4. 27. 16:45
728x90

1.국가주의 교육(공교육제도)의 의미.

국가주의 교육이란 국가의 존속, 발전을 교육의 목적으로 하는 19세기 교육론으로 교육의 국가관리 또는 공교육제도를 발전시킨 사상이다. 근대국가 유지를 위해 국민의 통합과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국민이 필요해지자 국민이 국가발전의 수단이 되었으며, 이는 공교육제도의 발달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어 교육대중화의 기초가 되었다. 이는 의무교육을 중심으로 무상교육, 공교육, 장학제도의 발전을 가져왔다.

2.근대 공교육제도의 특성

(1) 교육의 국가주도

중세유럽까지 교육의 주도권은 교회의 몫이었으나 근대 공교육제도에서는 국가가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을 결정한다.

 

(2)민족의식 교육

근대적 국민국가 형성에 따라 국민형성에 의해 필요성이 제기된 근대공교육제도는 사회 구성원을 묶을 수 있는 동질적인 사회규범과 지식의 교육을 통해 근대 공교육제도를 서두르게 되었다. 그 결과 모국어, 모국역사중심의 애국교육이 자리잡게 되었다.

 

(3)보편적 의무교육

전근대교육은 성직자들과 귀족계급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근대 공교육제도에서는 시민계급과 노동자계급에 확대되어 모든 국민이 교육기회를 누리게 되었다.

 

3.국민교육체제의 대두배경

①종교개혁: 루터와 칼뱅곽 같은 종교개혁가들은 교육이 올바른 신앙생활을 통해 영혼구원을 얻게하는 수단이므로 계급과 성에 관계없이 교육을 받아야 하며, 이러한 교육은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무교육의 기반)

②산업혁명: 산업혁명으로 인해 많은 노동자의 필요가 생기자 기존의 도제제도로는 노동자 공급이 부족해졌다. 따라서 숙련 노동자의 양성을 위해 문자 해독과 기능교육 등 실제적 교육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이는 대량 교육 제도의 배경이 되었다.

③시민혁명의 평등사상: 계몽사상에 입각해 만민평등사상을 내세워 일어난 시민혁명이 일어났다. 이러한 평등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보편적 평등교육이 요구되었다. 그러므로 자유와 평등에 기초한 능력주의가 사회조직의 기본원리가 되어 교육의 학력관리 기능도 강조되었다.

⑤근대민족국가의 수립(국가주의) : 작은 공국을 통합해 일어난 근대민족국가들은 새롭게 형성된 국가의 통일성 확보를 위해 국민성을 만드려고 했다. 이는 새로운 교육제도의 창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각국의 공교육 제도가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각국의 근대국민국가 수립 과정에 따라 특수성을 지니며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4.공교육제도의 등장( 프, 독, 미, 영)

①독일

독일은 1713년 프로이센의 황제인 프리드리히 빌헬름1세(그 계몽군주)가 발표한 보통교육에 관한 교육령으로 프로이센 내에서의 초등학교 취학을 의무화했다.

이후 1763년 '일반지방학사통칙'은 프리드리히 2세가 공포한 것으로 독일의 대표적 초등교육 시행령인 동시에 세계 최초의 초등 교육령인데 5~14세 아동들에게 취학을 의무화했다.

의무교육과 함께 1694년 프로이센의 할레대학의 설립을 기점으로 교육이 변화했다. 이때 강독이 전형적인 강의 형식으로 바뀌고 세미나가 등장했다. 1808년 훔볼트의 개혁을 비롯해 복선제가 정착되었고 1919년 바이마르 헌법에서 단선형 통일학교제가 도입된다.

 

②프랑스

프랑스는 프랑스 대혁명기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교육개혁이 실시된다. 그 이전에도 생피에르, 샬롯테의 국가교육론 등 교육개혁이 주장되었다.

프랑스 대혁명기 프랑스 헌법에서는 (91년헌법.이떄 93년 95년 새롭게 개정되는 헌법하고 어떤 연관이 있는지는 잘 모르겟음) "모든 시민이 필요로 하는 교육기관에 대해서는 무상의 공교육제도를 조직한다."라고 선언했다.

이후 나폴레옹의 제정에서는 중등학교 이상의 개혁에 초점을 맞췄다. 이후 7월 왕정기인 1833년 기조법에 의해 초등교육법이 실시되었으며, 제3공화국기인 1881년 무상교육제가 확립되었고 바로 1882년 의무교육제가 확립되었다. 프랑스에서는 통일학교 운동이 일어나는데 20세기 초까지 프랑스의 학제는 복선제였다. 초등교육은 하류층, 중등교육 이상은 상류계급. 그러나 제1차세계대전 이후 꽁파뇽협회를 결성해 통일학교 운동으로 단선형 학제가 수립되었다.

 

③미국

1776년 독립이후 펜실베니아주의 1834년 무상학교법에 을 시작으로 초등학교 제도가 운영되고 , 1852년 메사추세츠 주 교육령으로 의무취학을 법령화했다.

공립학교는 1821년 보스톤에서 공립중학교가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1827년 카터 교육령으로 500호 이상의 읍면에 중학교를 설치하도록 법령화했다.

 

④영국

산업혁명 이전의 영국에서는 자유주의 전통의 영향으로 국가의 교육통제에 부정적이며, 무관심했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빈민교육운동이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 결국 1870년 초등교육법이 만들어지고 1891년 초등무상화교육법, 1918년 피셔 교육법으로 무상교육제가 완전실현되었고, 1944년 교육법에 의해 단선형 확제가 확정되었다.

 

5.공교육의 목적과 기본 원리, 장점과 한계

(1)공교육의 목적

국가주의는 개인의 성장과 발달 이익보다, 국가사회의 발전에 역점을 두고 있다. 즉 국가의 부국강병을 위해 지덕체로 훈련된 보통교육을 실시해 국민의 교육수준을 높이는것.

(2)기본원리

공교육의 출발에는 의무성과 무상성을 담고 있는데이는 공교육제도의 기본 원리이다.

 

(3)공교육제도의 장점

국민교육체제는 기존에 소수에게 제한되던 교육을 위무취학 규정으로 다수에게 확대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일부 사회세력에게 (EX:교회)좌우되지 않는 중립성과 평등성을 보장하는 국가관리에 의해 공공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4)공교육제도의 한계

국가관리에 따른 획일성과 통제 가능성이 문제가 된다는 것. 또한 국가 이데올로기나 사회지배적 문화가 강제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대중교육이 일반화됨에 따라 교수학습이 개별교육보단 집단교육의 원리가 적용되게 된점이나 개인의 신념,이념,필요등을 반영한 교육권, 학습권 등이 제한된다는 점이 대중교육의 진전에 따라 제기되어 온 문제들이다.

 

6.공교육제도와 교육사상가(피히테, 콩도르세, 호레이스만, 오웬)

(1)피히테

1806년 나폴레옹 프랑스의 침입으로 독일이 위기에 처한 이후 국가를 강조하여 국민교육을 주장했으며 이러한 사상은 독일국민에게 고함이라는 연설에서 잘 나타나 있다.'

피히테는 독일이 도덕적으로 부패해 국가적 위기를 초래했다고 보고, 조국과 민족을 구하는 길은 오직 교육뿐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기존의 교육의 개혁을 주장했다. 그가 말하는 새로운 교육은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국가가 주도하는 교육, 국민적 성격의 형성을 돕는 교육을 의미한다.

피히테의 교육론은 개인과 국가의 조화와 근대 공교육제도의 정비와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콩도르세

콩도르세는 몽테스키외와 루소의 영향을 받았는데 프랑스 혁명기 공교육의 일반조직에 관한 보고 및 법안을 발표해 프랑스 공교육에 크게 기여했다.

콩도르세는 자연주의, 경험론, 성선설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자유와 평등이 인간의 특권이며 교육이 그를 획득하는데 필요하다고 봤다. 그러므로 누구나 균등하게 교육받을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교육의 기회균등이 보장되기 위해 교육을 국가가 주관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의무교육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는데 이는 자연주의적 입장으로 의무제가 개인의 자유를 속박하고 자연권으로서의 부모의 교육권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떄문이다. 따라서 국가교육의 지나친 개입을 경계했고, 교육은 사실이나 수를 가르치는 적극적 수업에만 국한되어야 된다고 주장했다.

 

(3)호레이스 만

호레이스만은 미국 메사추세츠 주 출신의 교육행정가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주 교육위원회를 설치해 학교감독제도의 기초를 확립하고 미국에서 처음으로 주립 사범학교를 세우고 교육강습회를 개최해 교사의 질적 향상을 도모했다. 호레이스 만은 교육개혁의 기본적 방향을 제시했는데 주요 내용으로는 종교교육은 도덕교육,도덕적 훈련으로 대체, 체벌금지, 교사양성을 위한 광범위한 준비를 할것, 교수활동은 교과서뿐만 아니라 언어법, 실물교수법을 이요할것, 흥미를 중시할것, 음악과 그림 자연과학을 추가해 교육계획을 중실히 할것이 있다.

또한 호레이스 만은 공립학교 운동을 전개했는데 공립학교를 미국의 정치,인종,종교,다원성을 극복하고 이를 통합시켜 줄 수 있는 장치이자 ㅏ회적 평등의 실현과 갈등해결을 위한 최적의 도구로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가 추구한 공립학교는 유럽처럼 소수귀족층을 위한 것이 아닌 보편평등한 학교였다.

(4)오웬의 교육운동

오웬은 웨일즈의 한 가게 주인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어렸을때부터 사업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공장 경영자로 활약했다.  오웬은 마을주민들중 약4분의 1이 거지인 공장촌을 무상교육기관을 설립하는 등의 개혁을 통해 성공적으로 꾸려 나가자 자신의 견해를 일련의 새로운 사회관: 성격 형성에 관한 에세이라는 소책자로 발간했다. 오웬은 이 에세이에서 인격은 개인 자신에게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의지와는 별도로 외부적 상황에 의해 형성되므로 선한 사람과 악한 사람의 차이는 교육의 차이로 귀착된다 라고 했다.

따라서 성격형성학원, 유아학교, 공장법 제정 운동을 펼쳤다. 후에 미국으로 가서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마을을 만들려 했으나 실패하고 거지가 되서 영국으로 돌아와 사회시민운동가로 활동하게 된다. 로버트 오웬의 이러한 사상은 사회적 교육사상이라고 알려진다. 즉 교육은 사회개혁의 수단이고 이를 통해 협동주의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국민교육체제의 내용이 좀 많은것 같긴 한데 일단은 국민교육 체제가 나오게 된 배경과 전개를 파악해두면 일단의 성격에 대해서는 알 수 있다. 그런 후에 독일,프랑스,미국,영국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나타나는 특수성을 중심으로 특성을 파악하면 일단은 틀은 잡힐 것 같다. 또한 국민교육체제는 지금도 교육의 바탕이 되는 체제이므로 이의 장점과 한계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할 듯.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뢰벨  (0) 2013.05.01
페스탈로치  (0) 2013.04.29
자연주의 교육과 루소의 교육관  (0) 2013.04.27
로크와 코메니우스  (0) 2013.04.25
실학주의  (0) 2013.04.24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4. 27. 15:06
728x90

1.자연주의의 배경과 유형. [각주:1]

자연주의는 원래 타고난 것을 존중하자는 것으로 이러한 자연에는 아름다운 질서가 있으며, 이 질서에 따라 사는 것이 올바르고 행복하다는 주장.  이는 루소가 에밀에서 주장한 것으로 이후에 써머힐 학교를 지은 닐(20세기 신교육 운동)까지 내려오는 교육사조이다.

 

교육에서의 자연주의는 세가지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교육원리는 자연의 법칙에서 도출되는 관점, 둘째 교육은 인간의 선한 본성이 자연스럽게 발현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관점, 셋째 교육은 인간발달의 일반적 원리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  (셋째는 패스)

 

(첫째 관점은 대표적으로 코메니우스를 비롯한 감각적 실학주의자들에게서 나타나는데 코메니우스는 객관적 자연주의, 경신적 자연주의를 주장했다. 그에 따른 원리로 합자연의 원리를 주장했는데, 이는 전체적인 관점으로 보아 인간도 자연의 일부분일 뿐이므로 교육도 자연의 원리에 따라 진행해야 된다는 원리이다. 즉 이러한 관점에서의 자연은 외계의 자연을 의미한다. 객관적 자연주의는 외부적 환경에 일치되어야 한다는 것. )

 

둘째 관점인 교육이 인간의 선한 본성을 자연스럽게 발현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라는 입장은 루소가 대표적으로 주장하는 입장이며 인간 본성의 선함을 믿고 인위적인 제어를 극단적으로 부정하고 어린이의 자발성에 따라 자유방임적으로 교육하려는 관점을 말한다. 교육학에서의 자연주의라고 하면 보통 이 관점을 이야기한다. 즉 18세기 자연주의에서의 자연은 주체인 간의 내적 생명으로의 자연을 의미하는 것.

이 관점에서는 인간을 성선설적 입장에서 인간의 신의 손의 있을때는 선했으나 인간의 손으로 넘어오면서, 즉 교육받으면서 악해진다는 주장을 했다. 또한 인간은 천성, 개성을 갖고 태어나며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힘을 스스로 갖고 태어나므로 교육은 소극적일 것을 주장했다. 각각의 연령과 삶의 조건에는 나름의 완성과 성숙이 있다는 인간관을 제시했다.

따라서 교육이 어린이에 내재하는 자연성을 신뢰하고, 조장하며 개발하는 것이 임무라고 보았다. 자연의 질서 속에는 모두 평등하며, 인간의 보편적 권리실현을 위해 자연에 의한 교육을 강조하는 교육관을 제시했다.

 

2.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1)루소의 생애

루소는 스위스의 한 청교도 가정에서 사제공의 아들로 태어나 바로 어머니를 여의고 가난하고 불우한 어린시절을 보냈다. 그러나 학문에 대한 관심과 열망을 가지고 프랑스 계몽사상가들이었던 백과전서파와 교류를 하며 자신의 사상을 구축했다.

38세에 디종 아카데미의 논문 현상에 당선되고 이후 사회계약론과 에밀을 출시하게 된다.

음 근데 쓸떼없는 사족을 붙이자면 루소는 자신이 선하다고 생각하고, 그러려고 노력는데 환경이 자신을 그렇게 만들지 못했기 때문에 그러한 고민과 가치관의 투영이 자연주의 교육관으로 나타난 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해봄. 불우한 어린 시절, 어머니라 부르던 바랑부인과의 육체관계, 아이들을 시설에 다 내다버린(?) 행동들을 보면 드는 생각. 

 

(2)루소의 사상적 토대

①낭만주의

:루소는 이성이 가치로운 인간의 능력임에 틀림없지만, 이성만으로 인간다운 인간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따.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은 인간의 도덕성인데 이것은 이성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감정인 양심으로 구성된다고 했다. 루소는 이성만을 강조하는 합리주의에 대해 양심이라는 감정을 이성과 동등한 위치에 놓고자 하여 낭만주의를 토대로 하였다.

낭만주의는 감성의 가치를 주장하며, 감정 혹은 정서의 표현에 중요성을 부여하고, 형식과 관습에서 탈피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②자연주의

:루소는 자연스러운 것은 순수하고 선하다는 입장을 취해 자연주의의 토대 위에서있다. 인간은 조물주로부터 나올 때는 선하다고 보았으며,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자연성을 자유스럽게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합리적인 정치적 이상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제도적인 주인인 인간 자체의 혁명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③국가교육관에 대한 입장

루소는 초기 저작에서는 훌륭한 시민 양성을 위해 국가교육체제를 강조하기도 했지만 이러한 국가는 개인의 자연적 욕망과 사회적 의무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국가를 의미하며, 이러한 이상국가에서만 교육이 제대로 교육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장했으나 후기 저작에서는 그러한 이상적 국가는 없다고 생각했다.

 

 

(3)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①교육목적 : 루소는 개인의 자연적 본성보존과 사회적 제약으로 벗어나 자신에게 주어진 본래의 선과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자연인의 육성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잠재성은 도덕적 자유를 획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데 도덕적 자유인이란 개인적 측면에서 볼때 자율적인 태도로 합리적 사고를 하고 합목적적인 행위를 하며 그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는 자기삶의 주재자이다.

 

②교육방법  - 루소는 인간에게 주어지는 교육을 세 가지로 구분했다. 자연에 의한 교육, 사물에 의한 교육, 인간에 의한 교육 루소는 자연에 의한 교육을 주장했으며 이외의 교육을 비자연적 교육이라 하여 비판했다. 즉 이러한 교육들은 인간에게 주어진 자연적 성향과 발달단계를 무시하고 임의로 교육방법과 목적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에 의한 교육, 사물에 의한 교육도 자연에 의한 교육에 의거해 필요하다. 세가지 교육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

 

자연주의 교육은 인간에게 주어진 성향 및 발달단계를 이해하여, 그것에 합당한 사물이나 인간에 대한 목표를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③교사의 역할

루소는 교사를 아동의 성향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조건을 제공해 주고 돌보는 정원사에 비유했다. 교사의 임무를 아동의 자연적 성장을 이끌고 아동으로 하여금 사회 안에서 그의 신분과 능력에 맞는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추어 주는 데에 있다고 보았다.

 

④에밀에서 제시한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

유년기(1~5세): (신체교육)신체적 단련을 위한 체육이 중요하다. 신체적 기능들이 원활하게 발달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동기(5~12세): (감각교육)감각은 정신능력 중에서 가장 먼저 형성되고 완성되는 것이므로 가장 먼저 계발될 수 있도록 감각 훈련에 집중한다.

청소년기(12~15세):(지식교육)이 시기는 호기심과 함께 결과에 대한 예견 능력이 발달되므로 지식공부를 시작 할 수 있는 단계이다.  지식공부는 과학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천문학에서 물리학으로 수렴한다. 그러나 지식을 획득하는 취미와 능력을 길러주는 것은 아동 스스로 발견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사회성 훈련의 일환으로 목공술을 배우며 수공 능력으로 마음의 발달을 위한 자극을 받고 장차의 역겨을 혼자서 처리해 나갈 준비를 한다.

청년기(15~20세):(종교, 도덕성교육) 이 시기는 성에 눈뜨기 시작하므로 정념을 사회적 정조에 ㄷ의해 접하는 것. 또한 역사에 나타난 인간의 모습을 공부해 종교에 대한 추상적인 관념을 처음 접하게 된다. 스무 살에는 사회에 들어가서 위대한 문학과 연극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맺는 데 필요한 처신 방법을 배운다.

여성교육:루소는 에밀 5장에서 에밀과 결혼하게 될 소피에 대해 서술했다. 그런데 루소는 여성의 의무는 남자를 즐겁게하고 남자의 생활을 돕는 존재이므로 부인과 어머니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보수적 여성관념을 제시했다.

 

 

(4)루소 교육론의 영향

 

①아동중심 교육의 전개

루소는 아동을 능동적인 존재, 아동의 특성에 기초한 교육 전개, 소극적 교육을 제시했는데 이는 칸트, 페스탈로치, 프뢰벨 등을 거쳐 진보주의에 계승되고, 아동중심 교육의 기틀을 이루게 되었다.

②노작주의의 발달

루소의 영향을 페스탈로치, 프뢰벨을 커쳐 케르쉔쉬타이너의 노작교육론에 영향을 미쳤다.

 

③범애주의에 영향

루소는 이를 실천에 옮기고자 한 범애파에 영향을 미쳐 초등교육의 교과와 방법에 큰 변화를 초래했다. 범애주의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까지 독일과 스위스를 중심으로 루소의 사상을 기독교적 견지에서 실천에 옮긴 교육개혁사상을 의미한다. 인류애를 기초로 아동으로 하여금 공익에 힘쓰고 애국적이고 행복한 생활을 하게 하는것.

 

 

루소는 기존의 계몽주의사상의 이성에 대한 무한한 믿음에 대해 직격탄을 날렸다. 이는 꾸준히 계몽사상에 따른 근대국민교육에 대한 대안이 필요할 때마다 이용(?)되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강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어떻게보면 피아제의 인지발달론도 인간을 성숙의 존재로 보는 관점에서 루소의 영향이 있다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측면에서 루소의 사상을 큰 가치가 있는듯. 근데 루소라는 사람 자체에 대해서는 멀쩡해보이면서도 충동적이고 반또라이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ㅋ.ㅋ

  1. 교육철학이 아니라 철학으로서의 자연주의는 훨씬 넓고 다른 개념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나는 교육관으로서의 자연주의가 필요하므로 그것만 중점적으로 봐야겠다. [본문으로]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스탈로치  (0) 2013.04.29
국민교육체제의 성립과 발달  (0) 2013.04.27
로크와 코메니우스  (0) 2013.04.25
실학주의  (0) 2013.04.24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기의 교육  (0) 2013.04.23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4. 25. 14:51
728x90

로크와 코메니우스는 실학주의 사상에 입각한 교육론을 전개했다. 를 염두해 두고 이해하면 좋을 듯.

 

 

1.로크의 교육사상

 

(1)생애와 활동

로크(1632~1704)는 명예혁명기 사상적 기반이 된 사회계약론으로도 유명하며, 이후에 버클리와 흄에게도 영향을 미친 경험론철학의 시조이다. 로크는 부유한 변호사의 아들로 아동기부터 주의깊은 가정교육을 받았으며, 옥스퍼드에서 의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로크는 퓨리턴이기도 한데 건전한 인격을 갖춘 신사 양성을 목표로 했다.  주요 저서로 『인간오성론』(1690)『교육에 관한 고찰』(1693)『오성의 구사』(유작)이 있다. 로크의 교육 사상은 이들 저서에 모두 담겨있다.

 

(2)『인간오성론』(1690)의 사상.

로크의 기본적인 교육에 대한 관점은 경험론적 인식론으로 공부해야되는 관점(^.^)이 모두 인간오성론에 담겨있다.

①인간백지론

"아동의 마음은 출생시 백지와 같다" 라고 백지설을 주장한 로크는 대표적으로 데카르트가 주장했던 본유관념을 부정했다. 그러므로 아동은 어리므로 원하는대로 틀에 부어 만들 수 있는 밀랍같은 존재로 생각했다.

②경험론적 인식론

로크는 모든 관념은 감각적 경험과 내적 성찰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로크는 지식획득의 원천을 감각을 통하여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진 자료, 내적 성찰로 자료를 처리하는 마음의 능동적인 활동. 두가지로 보았다.

③교육만능론

이러한 인식은 경험을 통해 어떤 학습도 가능하다는 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낳게 했으며, 나아가서 교육을 통해 어떤 유형의 인간도 길러 낼 수 있따는 교육만능론에 이르게 했다.

 

(3)『교육에 관한 고찰』(1693)

교육에 관한 고찰에서는 로크의 교육론이 소개되어 있다. 청교도적 영향을 많이 받고있다. 로크는 교육의 목적을 사회 전체의 질서를 바로 잡고 국가의 번영과 복지에 이바지하는 신사의 양성을 목표로 삼았다. 신사는 덕성, 지혜, 품위, 지식을 갖춰야 하며 이를 위해 체육, 덕육, 지식 교육, 수공 교육을 제시했다.

 

(4)『오성의 구사』의 형식도야 이론

로크는 유작인 『오성의 구사』에서 '지적 능력의 도야'를 교육의 목적으로 제시했다.

로크는 이 책에서 연습의 강조와 일반적인 능력의 도야를 주장했다. 로크는 우리는 태어나서 무엇이든 할 수 있는 힘과 능력을 갖고 태어나는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오직 연습을 통해서라고 주장했다. 즉 몸과 마찬가지로 마음도 연습을 통해 단련할 수 있따고 보았다. 또한 연습이 가능한 분야는 어느 분야에 관계없이 적용 할 수 있다고 하는 일반적 능력의 도야를 주장했다. 즉 연습을 통한 분야에 관계없는 능력의 도야는 형식도야설의 토대가 되었다.  

 

 

2.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코메니우스는 실제적이며 경험적인 지식의 가치를 강조하는 17세기 실학주의 교육사상을 교육이론으로 구체화시키고 실천에 옮긴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코메니우스는 보헤미아의 모라비아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대성해 유럽 각지를 전전하며 명성을 얻었다.  보헤미아의 프로테스탄트 교단 소속의 목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1)코메니우스의 사상적 토대

①경신을 통한 자연주의: 루터의 직계인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은 베이컨의 경험주의적 자연관과 스토아적이고 기독교적인 자연관이 결합되어 나온 것으로 그의 일관된 사상적 바탕은 경신을 전제로 한 자연주의이다. 코메니우스는 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종교적 신념으로부터 출발한다.

②객관적 자연주의: 코메니우스는 인간의 지적, 도덕적, 종교적 훈련의 기초를 인간의 생득적인 본성에서 찾았다. 즉 교육은 인간이 태어날 떄부터 가지고 있는 본성과 소질을 계발하여 표출하게 하는 것이라고 보고 인간의 내면적 자연을 원리에 따라 발달시켜야 하는 것 (합자연의 원리)을 교육의 기본원리로 제시했다. 여기서 코메니우스가 말하는 자연이랑 아담의 원죄에서 벗어난 최초의 근원적 상태를 의미한다. 즉 코메니우스의 인간관은 성선설에 가깝다는 것.

③감각주의: 감각은 이해보다 먼저 작용하며, 마음은 모든 사고의 원료를 감각에서 가져온다. 따라서 아동에게 먼저 감각을 연습하도록 하고, 그다음에 기억, 이해, 마지막으로 판단을 연습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교육관

 

기본적 인간관 : 인간은 이성적 창조물이며, 다른 창조물의 지배자이자 창조주의 형상이므로 인생의 궁극적 목적은 신의 피조물인 모든 존재들과 영원한 평화를 이루고 나아가 내세에서 하나님과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것으로 보았다.

교육목적과 내용: 그러므로 신이 부여한 가능성을 교육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며, 이를 위해 모든 사물의 원인과 법칙을 아는 지적 도야, 사물의 지배자로 자신과 만물의 지배자가 되는 도덕적 도야, 창조주의 형상으로 자기 자신과 일체 사물을 신께 귀의시키는 도덕적 도야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구체적인 실현방법으로는 모든 지식을 백과전서식으로 조직해 가르치는 범지주의의 입장을 취했다.

 

(3)교육방법

코메니우스는 대교수학에서 자연의 원리에 근거한 교수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①합자연의 원리 : 자연이란 사물의 세계뿐만 아니라 인간이 나고난 내면세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모든 교육은 자연의 원리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이는 모든 교과에 공통 적용된다.

②직관교수법: 사물이 언어의 실체이므로 언어로 이해시키기 전에 사물, 표본, 실례를 통한 감각학습이 우선되어야 확실한 지식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최초의 그림을 곁들인 교과서인 세계도회와 시청각 교육을 실시했다.

③아동중심교육 : 교사는 천성의 하인일뿐 주인은 아니다. 라고 하여 수업은 아동중심으로 할 것을 주장했다.

④훈육중시 : 훈육 없는 학교는 물 없는 물레방아와 같다 하여 사랑과 모범으로 아이를 대해야 하나 충고와 질책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4)교육제도

가정교사에 의한 개별교육보다 학교의 집단적 교육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즐거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6년식의 4단계의 학교제도를 두어야 한다고 했다.(4단계 단선형 학제 어머니 무릎학교- 모국어학교-라틴어학교-대학) 이는 독일의 통일학교의 기본이 되었고, 미국의 민주교육제도인 단선형 학제의 원형이 되었다.)

(5)보편적 교육론

코메니우스는 신 앞에서 모든 이는 기본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모든 사람이 참다운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이를 가능케 해주는 것이 교육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교육이 사회 계층과 차별을 넘어야 하며, 이러한 보편교육은 전세계적으로 확대해 세계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남녀평등이 이루어져 여성에게도 남성과 동등한 교육을 할 것을 주장했다.

(6)저서

『언어입문』(1631): 단어장, 문법, 사전의 포괄적인 체제의 한 부분으로 계획된 라틴어 공부의 입문서인데, 12개 유럽어와 4개 아시아어로 번역되어 유럽 전역에 걸쳐 라틴어 공부의 초보자들이 사용하는 교과서가 되었다.

『세계도회』(1658): 세계에 있는 모든 기본사물과 인간의 모든 기본활동을 눈으로 볼 수 있게 나타낸 책

『대교수학』(1632) : 모든 사람에게 모든 사물을 가르치는 기술이라는 부제가 붙어있으며, 교육자들에게 교육의 원리를 제시하는 책. 이 책은 교육의 본질과 목적, 일반 교수론, 도덕 및 종교적 도야와 학교 훈련, 학교계통의 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교육체제의 성립과 발달  (0) 2013.04.27
자연주의 교육과 루소의 교육관  (0) 2013.04.27
실학주의  (0) 2013.04.24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기의 교육  (0) 2013.04.23
로마, 중세교육  (0) 2013.04.22
Posted by 런닝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