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한문사료2013. 4. 1. 22:55
728x90

1.신문왕2년 六月立 囯學 置卿一人

 

 

2.四年春 始定 讀書三品以出身 讀春秋左氏傳 若 禮記 若 文選 而能通其義兼明 論語 孝經 者爲上讀 曲禮 論語 孝經 者爲中讀 曲禮 孝經 者爲下 若愽通五經三史諸子百家書者超擢用之

 

前祇 [校勘 001] 以弓箭選人至是攺之

 

해석

1.신문왕 2년 6월(682년 6월을 뜻함) 국학을 세우고 경 한명을 두었다.  

置: 둘치. 두다 라는 의미로 쓰임.

 

2.원성왕4년봄(788년을 뜻함) 독서삼품과를 처음으로 정해 이로써 관직을 주었다.(의역 -_-;) 춘추좌씨전 혹은 예기 중 문장을 선택해 그 의미에 통달하며 논어 효경 에 밝은 자는 상독, 곡례 논어 효경인자는 중독으로 삼고,  곡례 효경을 읽은자는 하독으로 삼았다 만약 오경과 삼사 제자백가 전부에 통달한 자면 초탁하여 등용했다.

若: 만약 약. 혹은 이라는 의미로도 쓰임. 超擢 : 초탁. 지위를 초월해 발탁하다.

 

내용은 그렇다 치고 국학과 독서삼품과의 설치에 대해 논한 것임을 금방 알 수 있다.

 

이 두가지 정책은 삼국 통일 이후 꾸준히 진행되 온 왕권강화 정책의 일환중의 하나로 통치조직의 정비와 더불어 유교적 정치 사상 도입 꾀하기 위한 정책이었다. 유교정치사상은 진흥왕순수비와 같이 통일 이전의 소박한 이해단계를 거쳐 중대사회에 본격적으로 제시되었는데, 이는 왕의 명칭이 이전의 불교식에서 통일 이후의 유교식으로 변한 것으로 보아 알 수 있다. 대표적으로  682년(신문왕2) 국가교육기관인 국학 설립, 711년(성덕왕10) 왕이 유교적 교훈을 담은 것으로 보이는 백관잠[각주:1]을 지어 신하들에게 보였고 이후 716년(성덕왕 16)에는 국학에 공자와 10철, 공자의 72제자의 화상을 당에서 가져와 안치하여 유교교육기관임을 확실히 했다. 8세기 중엽 경덕왕때는 국학을 태학감으로 바꾸고 박사와 조교를 두고, 교육과목을 논어와 효경, 5경과 문선을 선택과목으로 하는 삼과체제를 실시하는 등 유교교육이 전문화 되가는 과정을 거친다. 788년(원성왕4) 국학의 졸업시험이면서 관리등용시험인 독서삼품과를 마련해 유교정치 이념의 확립을 도모했다.(신특 p37),(다시찾는 우리역사 p.159)

하지만 골품제의 폐해로 진골이 주요 관직을 독점했으며 신분에 따라 승진에 차등이 있는 등 능력보다 혈통이 중요시 되는 사회적 모순때문에 결과적으로 실패하게 된다. 이어 선덕왕(780~785)부터 시작되는 하대사회가 오게된다.   

신문왕의 국학 설치는 김흠돌의 모역 사건을 계기로 귀족들을 숙청하고 왕권의 전제화를 위해 정치세력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실시된 것이다.

※신문왕대 왕권 전제화 정책

㉠중앙 정치 기구와 군사 조직을 정비

㉡9주 5소경 체제를 완비

㉢문무 관리에게 관료전을 지급

㉣녹읍을 폐지.

㉤유교 정치 이념의 확립을 위해 유학 사상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국학을 설립했다.

이에 대한 결과로 김씨 왕족은 왕권 옹호 세력으로 변질되고, 박씨 세력 및 가야 고구려계 귀족 정권소외, 6두품 세력이 왕권과 결탁해 상대적으로 부각하게 된다.  

 

 

  1. 삼국사기 신라본기 성덕왕열전에 왕이 백관의 잠계(箴戒)를 지어 나누어주었다고 나오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아마도 왕이 백관이 지켜야할 도리. 등을 지시하는 등한 내용으로 추측된다. [본문으로]
728x90
Posted by 런닝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