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한문사료2013. 4. 9. 00:06
728x90

 其大對盧, 則以彊弱相陵, 奪而自爲之, 不由王之署置也.

 -주서, 이역열전, 고구려

 

其國建官有九等, 其一曰吐捽.比一品, 舊名大對慮, 惣知國事, 三年一[伐=>代]、若稱軄者不拘年限、交替之日. 或不相服, 皆勒兵相攻,勝者爲之. 其王但閇宮自守,不能制御. 次曰太大兄、比二品,一名莫何何羅支. 次折, 比從二品, 華言主薄. 次大夫使者,比正三品, 亦名謂謁奢. 次皂衣頭大兄, 比從三品:一名中裏皂衣頭大兄 .....以前五官, 掌機密謀[改=>政]事.徵發兵,選授官爵

 

-한원, 번이전, 고구려중 

 

해석: 1.그대대로는 강하고 약함으로 서로를 넘었으며 빼앗아 스스로 대대로가 되었다. 왕의 임명에 말미암지 않는다.

2.그국가는 관등을 구등을 지었다, 그 일은 토졸. 일품에 비한다. 옛명칭은 대대로다, 국사의 전반적인 것을 총괄한다. 삼년에 한번 임명한다. 만약 직위를 칭한자가 연한을 지키지 않으면 서로 바꾼다.  만약 불상복시 서로 병사를 일으켜 이긴자가 그것이 된다.(의역죄송 -_-;머리가 아파서.;) 대대로는 단지 궁문을 스스로 닫을 수 있으나 왕을 제압하진 못한다. 다음은 태대형이며 이품에 비한다. 막하하나지라고도 하고 다음 종이품에 비한다.중국말로 주부라고 한다. 다음은 대부사자이다. 정삼품에 비한다. 역시 갈?라 한다. 다음조의대대형이고 종3품에 비한다. 이명 중의조의두대형 ,.... 이 앞선 다섯관등으로 정치기밀을 장악하고 징병하고 관작을 선택해 받을 수 있다.(거칠은 해석 ㅈㅅ -_-..)  대충 핵심 내용은 대대로가 국사의 전반적인 것을 총괄하며, 삼년에 한번 선출하는데 귀족끼리 다퉈서 승리하는 자가 대대로가 되기도 한다. 왕에 버금가는 권력이지만 왕보다는 아래이다는 것이며, 그리고 다음 관등 쭈욱 나오다가 여태 설명한 5품까지 지방태수가 되서 정병권을 장악할 수 있다는 말로 생각됨.

-이를통해 대대로는 귀족들의 연합정치에 의해 선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권력이 왕도 함부로 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왕권의 강화와 중앙집권화 : 고구려는 가장먼저 강력한 왕권을 수립하고 고대국가로 발전했다. 그 근거로 고구려는 계루부의 고씨가 세습적으로 왕위에 올랐을 뿐 아니라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제로 바뀌는 등 왕권이 공고해졌음을 알 수 있다. 부여와 비슷하게 고상가, 고추가 등 대가들이 있었으며(위지에 나오는 것은 대가들인 듯. 대가들과 대가들의 관직명이 그대로 관등으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각 부마다 자체적으로 사자, 조의, 선인 등의 관리를 거느리고 있었다.  

2.귀족연합기의 정치 : 기존의 5부의 족장들은 귀족으로 전화하여 고위관직에 임명되고 정치에 참여했다. (즉 귀족의 행정관료화가 이루어졌다.)왕족인 계루부가 제1귀족이 되었고, 소노부와 절노부의 대가들이 고추가의 존칭을 받고 귀족신분의 중심을 이루는 등 왕과 귀족이 연합해 정치를 주도해나갔다.

3.관등조직: 고구려는 가장 먼저 관등조직을 성립시켰다. 고구려의 관등조직은 시대에 따라 변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그 근거는 중국의 사서들에서 고구려의 관등체계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것을 표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한통p.97 및 삼국사기 잡지 베꼇음 ㅡㅜ)

 

〈표 1〉                  고구려 관등조직표

 魏 志


周 書

隋 書

新 唐 書

翰       苑

三國史記職官志

 

상가(相加)

대로(對盧)

패자(沛者)

고추가(古雛加)

주부(主簿)

우태(優台)

승(丞)

사자(使者)

조의(皂衣)

선인(先人)


大對盧
太大兄
大兄 
小兄 
意俟奢
烏拙 
太大使者
大使者
小使者
褥奢
,屬
仙人
褥薩
(13등)

太大兄
大兄
小兄
對盧
意侯奢
烏拙
太大使者
大使者
小使者
褥奢
,屬
仙人
(12등)

大對盧
鬱折
太大使者
,衣頭大兄
大使者
大兄
上位使者
諸兄
小使者
小兄
仙人
古雛大加
(12등)

大對盧(吐卒)
太大兄(莫何何羅支)
鬱折(主簿)
大夫使者(謁奢)
,衣頭大兄(中裏,衣頭大兄)
大使者(大奢)
大兄(,支)
拔位使者(儒奢)
上位使者(契達奢使者, 乙奢)
小兄(失之)
諸兄(,屬, 伊紹, 河紹還)
過節
不節
先人(先元, 庶人)
(14등)


主簿:(一吉飡) 
大相:(沙飡) 
位頭大兄:(級飡) 
從大相:(級飡)    
小相:(奈麻)    

狄相:(奈麻)    

小兄:(大舍)    

諸兄:(舍知)      
先人:(吉次)    

自位:(烏知) 

각 사서의 시기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갈수록 후대의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고구려 관등체계와 변화, 그리고 변화의 이유를 알 수 있다.

초기국가 시절 <위지>동이전에 기록된 대로 상가 등 10개 관등이 마련되었다가 점점 주서의 13관등 수서의 12관등, 당서의 12, 한원의 14관등으로 점차 정비되어 갔다. 이러한 관등은 고대국가에 들어와 대가 세력을 왕권 아래 통합 분화정비 시킨 것이다.

(1)형과 사자의 차이: 고구려 관등에서 특징적인 것은 兄 계열과 使者 계열로 관등이 분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형'은 연장자 내지는 가부장적 족장의 뜻을 가진 것으로 종래의 족장세력이 집권적인 왕권 아래 통합 편제되어 있는 것이고 사자는 원래 조부를 걷어들이는 사람의 뜻을 가지는 것으로 행정적인 관리출신이다. 고구려의 관등은 이 두 계열이 하나의 관등체계 안에 편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시대가 변할떄마다 형과 사자계열 관등이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는 고구려의 정치권력의 변동하고 관련이 있다. 즉 수서가 기록하고 있는 6세기 무렵엔 사자계 계열이 관등이 높은 것으로 보아 왕권이 강력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2)귀족연합적 성격: 형과 사자계 계열이 번갈아가면서 관등이 조직되었어도 1품관등은 대대로이다. 이는 대대로가 수상으로서 국사를 총괄했고, 귀족들에 의해서 선출되었다고 알려져 있다.(맨위 사료 참조). 이것은 귀족의 합좌제도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것(고구려는 제가회의)이고 당시 정치가 귀족연합적 성격을 띠고 있다. 제5관등인 조의두대형 이상만 국가 기밀사무에 참여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728x90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4. 8. 09:49
728x90

1.교육철학의 정의

(1)哲學이라는 말은 다른 단어로 바꿔 표현하기 힘든 표현이다. 哲은 단순히 지식같은것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말인데 이는 철학에 대해 범위가 일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며 지식에 대한 학문을 뜻한다. 또한 서양에서 철학을 뜻하는 단어인 philosophia는 philia(사랑), sophia(지혜)의 합성어인데 이것은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즉 지혜로운 자가 아닌 지혜를 사랑하고 탐구하려는 사람을 의미한다.

 

(2)교육철학은 교육의 본질(교육의 개념,목적,과정, 조직, 정책)을 철학적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작게는 교육 자체의 이상적 원리나 신념에서부터(교육관으로서의 교육철학), 넓게는 일반적 이론으로서 교육적 철학에 대한 이야기까지 포괄하는 것(학문으로서의 교육철학)으로도 볼 수 있다.

 

2.교육철학과 교육과학

교육철학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할때 교육과학의 비교를 통해 그 예를 제시할 수도 있다.  교육철학은 세가지 측면에서 교육과학과 비교할 수 있다.

(1)대상: 교육과학은 존재를 문제 삼아 있는 그대로의 사태를 기술하고 설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육현상에 관한 어떤 법칙을 발견하려고 하는 반면 교육철학은 교육의 과정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가치를 규명하는 학문이다.

(2)연구방법:교육과학은 교육에 관한 사실을 사실적으로 기술하거나 교육에 관한 가설을 제기하고 그것을 증명하는 과학적 방법론을 쓰지만 교육철학은 철학의 응용, 철학적 지식을 교육적 상황에 적용하는 방법, 역사적으로 선행했던 여러 교육사상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검토와 비판을 주로 하는 방법, 철학적 탐구방법등을 이용하는 등 사실에 대한 해석과 비판 및 평가가 주로 이뤄진다.

(3)기능:교육과학은 교육철학이 밝힌 목적이나 이상을 실현시킬 방법과 수단을 구하지만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한다.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에 의해 발견된 사실을 검토하고 비판하여 그 논의를 심화시키고 나아가 발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3.교육철학의 성격(영역)

(1)철학적 지식의 확장과 응용

-교육철학은 '철학적 이론 혹은 지식을 교육적 이론과 실천에 연장하거나 응용한 것'이다. 교육 문제를 철학적 이론이나 지식을 빌려 해결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철학적 교육학'이라고도 하고 철학적 이론이나 지식이 교육이론이나 교육적 지식의 기초가 된다는 전제하에 성립된다. (다양한 -ism, 관념,실재,토미즘, 경험주의, 실존주의, 합리주의, 프래그머티즘 등 철학적 이론이나 전제로부터 교육학적 주장이나 함의를 이끌어내는 방식)

-철학적 지식의 응용은 형이상학, 인식론, 가치론, 논리학 등에서 발견된 철학적 지식을 교육의 이론적 전개나 실천적 원리에 응용하는 것. 형이상학에서 교육의 목적, 인식론에서 지식 교육을, 가치론에서 도덕이나 미학교육을, 논리학에서 교육의 논리를 적용한다.

즉 기존 철학사상을 교육적 문제에 대입시키느냐 아니면 철학에서 이용되는 탐구방법들을 교육에 응용하여 이용하는 것인가에 대한 차이라고 볼 수 있으나 둘다 철학을 교육으로 확장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방법에 따라 규범적 교육철학과 분석적 철학으로 나누고 1980년대 이후 실제적 교육철학이 나오기 시작했다.

 

(2)규범적 교육철학

-규범적 교육철학은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가를 탐색하고 제시하는 데 관심을 가진다. 규범적 교육철학에서는 교육의 전반 과정에 관한 포괄적인 이해와 소견인 '교육관', '교육철학', '교육목적론'이 있다. 그러므로 '위대한 사상가의 교육관'이나 '교육사상'을 탐구하거나 '교육에서 어떤 목적을 추구해야 하는가'(앞으로 교육철학파트에서 주로 다루는 부분)를 포함한다. 이것은 규범적 교육철학이 교육이론 형성을 철학이론이나 철학지식에서 빌려오는 것보다는 교육사상가의 교육 아이디어에서 직접 찾고 교육이론 형성 뿐만 아니라 교육을 왜 해야 하며 어떤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가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그러나 교육사상가의 이론이 완벽한 것이 아니므로 규범적 교육철학은 교육에 대해 지침이나 권고를 주지만 교육 내용과 주장에 대해서 철학적 엄밀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3)분석적 교육철학

분석적 교육철학은 전통적 교육철학에서 애매하거나 모호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교육의 주요 개념이나 의미를 명료하게 하고, 다양한 교육 논의에 들어 있는 논리적 가정과 함의들을 드러내며, 나아가 교육에 관한 주요 주장들을 검토하고 정당화하는 일에 관심을 가진다.

분석적 교육철학은 철학이 '무엇'이냐보단 '어떻게'탐구하느냐에 관해 관심을 갖는다. 이를 위해 철학의 기능으로 분석적 기능, 평가적 기능, 사변적 기능, 통합적 기능이 있다.

분석적 교육철학은 교육개념과 교육적 논의를 명료하게 하지만, 교육이 무엇이며 어떤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시하는 바는 별로 없다.

 

(4)실제적 교육철학

1980년대 이후 영미교육철학계는 분석철학적 방법론에 대한 불만족과 인간,사회,지식,도덕적 가치의 본질등 사회 철학적 문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해명의 필요성으로 실제적 교육철학의 사조가 나타났다.

실제적 교육철학은 말 그대로 교육현실 문제를 철학적으로 논의하고 그 답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제적 교육철학은 교육철학자가 의존하는 철학이론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띤다. 비판이론, 포스트모던, 신실용주의, 페미니즘, 현상학, 후기구조주의 등 다양한 사회철학 이론에 기초한 교육이론과 실제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포괄한다.

실제적 교육철학은 현행 교육의 중요한 문제에 어느 정도 답변을 제공하지만 교육철학이 교육학의 다른 영역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불분명하다는 점이 있다.

 

 

4.교육철학의 방법(기능이나 사고)

 

(1)분석적 기능

분석적 기능은 일상적 언어의 의미와 거기에 함의된 논리적 관계를 명백히 하거나 각종 가치판단 기준을 밝히는 행위이다. 문장의 애매성과 모호성을 없애거나 줄이고, 동어반복과 논리적 모순을 가려내고, 함의와 논리적 가정을 밝히는 일을 한다.

교육의 언어도 항상 명백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교육의 주요 개념을 분석하고 교육적 주장에 포함된 논리적 관계를 드러내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철학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교육학에도 적용하는 일이라 생각된다. 

 

(2)평가적 기능

어떤 이론, 실천, 주장, 원리 등이 주어진 모종의 준거에 비추어 만족스러운가를 밝히는 행위. 분석적 기능이 좌표 혹은 원리를 명백히 하는 것이라면 평가적 기능은 그것이 제대로 가고 있는가에 대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3)사변적 기능

이론적 혹은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의견, 제언, 가설, 원리 등을 창출하려는 노력을 뜻한다. 이론이나 설명체계를 구안하여 제시하는 활동으로 구체적으로 어떤 인간관, 세계관, 지식관, 아동관과 교사관을 형성하고 이렇게 해야 된다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사변적 기능을 대안을 제시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4)통합적 기능

통합적 기능은 교육과 관련된 주요한 기능으로 하나의 현상이나 과정을 전체로서 파악하고 여러 부분과 차원을 통합하여 이해하려는 행위다. 교육 자체는 복잡한 인간활동의 일부이다.  교육 목적,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지도, 교육행정등 교육에는 다양한 분야가 있다.  교육활동은 그것이 이론적이든 실천적이든 상호간 유기적인 관련 내지 통합이 이루어져야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교육철학이 필요하다.

 

5.교사를 위한 교육철학의 필요성

(1)J. F Soltis가 제시한 교육철학의 필요성

㉠교육철학은 합리적 사고력을 개발한다. 합리적 가치가 존중되는 사회에서 교사는 학생에게 이성을 깨우치고 건전한 논의방식을 발전시키고 이성적 성격을 키워야 할 책임이 있다.

㉡교사가 가르치는 지식이란 결국은 철학의 문제, 지식의 성격, 구조, 방법, 목적, 가치 등과 결부된다. 교육철학은 교사가 교육문제를 이해하는 일에 많은 도움을 준다.

㉢교육철학은 교육에 대한 통찰과 지혜를 준다. 규범적, 분석적 교육철학의 논의들을 탐구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깊은 혜안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교수는 인간적이고 도덕적인 관계 위에 있다. 교수에 있어서 윤리적인 차원을 밝히고, 교사로 하여금 직업윤리에 민감하고 비판적인 자기각성을 가지도록 하는것이 교육철학의 기능이다.

 

-교육철학은 교사의 기본적인 행동을 규정한다. 교육에 대해 교사가 가지고 있는 철학이 교사가 교육문제에 대해 판단을 내리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가 교육에 관련된 자기 철학이 명확하지 않으면 애매모호하고 방향성이 없는 교육지도를 할 가능성이 높다.(솔티스가 제시한 것 중 2번째와 관련됨)

-오늘날에는 힐링이 필요한 교사가 많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교육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못하고 부모가 시켜서, 안정적인 직장을 찾아서 교사를 선택한 교사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다양한 문제 해결 방법 중에 교사 자신의 교육관에 대해서 다시한번 정립해보고 명확하게 생각해본다면 불안정한 교사생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솔티스의 네번째 이유와 관련되어서)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  (0) 2013.04.10
형이상학과 그리스 철학자  (0) 2013.04.09
영재교육  (0) 2013.04.07
인성교육  (0) 2013.04.07
교육의 목적  (1) 2013.04.06
Posted by 런닝보이
교육학/논제2013. 4. 7. 13:38
728x90

1.영재의 정의

(1)전통적 보수적 입장

터만의 정의: 영재를 지능 지수가 140이상인 자 또는 동일 연령 집단에서 상위 1%이상에 속하는 자로 정의했다.

 

(2)진보적 입장

렌줄리의 정의: 평균 이상의 능력, 높은 과제 집착력, 높은 창의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고 정의했다(3개의 고리모델) 각 특성이 85%이상이고 한가지는 98%이상이 뛰어난 성취의 조건이다.

펄드후센: 창의성과 영재성을 동일시하고, 특수한 영역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이는 사람이라고 했다. 높은 수준의 일반적 능력, 긍정적 자아개념, 동기 및 창의성의 상호작용의 결과.

 

(3)영재교육 진흥법

영재는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이고, 영재교육은 영재를 대상으로 각 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하는 교육이다.

 

2.영재교육의 필요성

영재성을 지닌 학생들을 조기에 발굴해 교육해 자아실현을 돕고 이들의 능력을 극대화해 사회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원이 빈약해 인적 자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기 떄문에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3.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영재교육은 기존의 전통적 입장이던 IQ나 성적평가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한 이론적 기반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서 기반한다.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9개의 지능을 소유하고 있는데 사람에 따라 우수한 지능영역이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지능영역에서 영재를 찾아 그 능력을 극대화 시킬 필요가 있다.

 

4.영재교육 과정의 이론모형

(1)과정산출 연구모형

이 모형은 학생들로 하여금 주제를 깊이 있게 경험하고, 여러 학생들이 협동해 구체적 산출물을 내도록 격려하는 것이다. 렌줄리의 심화학습, 한국교육개발원의 사고, 탐구, 창조 영재교육 시리즈 등이 있다.

(2)내용습득 모형

지식이나 개념의 빠른 습득에 강조점을 둔다. 1996년부터 실시한 조기진급 및 조기 졸업 제도도 이를 바탕으로 한 경우이다.

(3)인식론적 모형

이 모형은 지식 체계 전체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중점을 둔다. 미국의 영재 고등학생을 위한 역사,문학 분야의 대학 과정 프로그램은 이 모형에 의해 개발된 경우이다.

 

 

5.렌줄리의 심화학습 3단계 모형

(1)제1단계(일반적 탐색활동 단계)

학생들이 정규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다양한 주제의 영역소개, 학생들 다양한 주제와 관심 영역을 접하도록 설계(다양한 주제,원리,사건,취미,인물,장소,흥미). 정규교육과정에 없는 기회를 제공한다.

(2)제2단계(집단훈련 활동단계)

연구를 위한 기술들이나 창의성과 같은 인지적, 정의적 과정의 발달을 시키고, 학생의 학습기능,연구기능, 참고자원 활용기능, 의사소통기능,인지적 ,정의적,기능적 능력을 개발한다.

(3)제3단계(개인별 혹은 소집단별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연구단계)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탐구하도록 한다. 이 시기에는 영재성이 있는 학생들의 특수한 창의성, 능력, 열성이 요구된다.

6.영재교육 방안

(1)정부당국의 철학과 의지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영재교육을 통해 국가발전의 인적자원을 확보하겠다는 확고한 철학과 의지가 요구된다ㅓ.

(2)학교차원

체계적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및 이론에 기반한 운영이 필요하며 다양한 지능과 창의적 사고력을 자극하는 질 높고 내실있는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3)교육청 차원

교육청에서는 우선, 영재교육 전담교원 양성체계 구축, 영재교육 운영체계의 다양화, 다양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뒤따라야 한다. 이를위해 행,재정적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

 

영재교육은 그 필요성이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찾을 수 있으며 영재 선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은 하워드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그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해서는 과정산출 연구모형, 내용습득 모형, 렌줄리의 심화학습 3단계 모형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런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실현을 위해서는 정부당국의 철학과 의지가 필요하며 학교급차원에서도 다양한 분야의 영재를 선택해 교육해야 한다.

728x90

'교육학 > 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이상학과 그리스 철학자  (0) 2013.04.09
교육철학의 성격과 방법론  (0) 2013.04.08
인성교육  (0) 2013.04.07
교육의 목적  (1) 2013.04.06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0) 2013.04.05
Posted by 런닝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