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본적으로 '또는'에 대해서 애매한 용어라고 주장하는 의견에 대립하여 '또는'이 애매하지 않은 용어라고 의견을  제시하는 구조의 지문. 그리고 각기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선지를 추론해야 함.

 

1) 애매한 용어라고 주장하는 의견 

'또는'이  '포괄적 의미' 혹은  '배타적 의미'로 사용이 되기 때문에 애매하다고 주장

 

2)'또는'이 애매한 용어가 아니라는 의견

문자적 의미가 아니라 '함의적 의미'로 내용을 전달하는 것일뿐. 함의적 내용에 부정하는 표현 문장을 뒤에 나열해도 모순되지 않음. 즉, 함의적 내용의 부정을 나열했을 때 모순이라면 성립이 되지 않음. 

 

여기에 배타적 의미는 함의로서 전달된다고 주장

그래서 ㄷ. 선지 같은 경우 선지에 나온 커피와 녹차 모두를 드릴 수 있다고 하는 내용의 부정을 나열하면 모순이 생기므로 선지가 성립이 되지 않음.

 

ㄴ을 보면 문자적 의미인 철수는 밥과 빵을 먹었다. '철수는 빵을 먹었다'라는 내용을 함의로 전달할 수는 없다.

거꾸로 뒤집어 보면 '철수는 빵을 먹었다'라는 의미를 철수는 밥과 빵을 먹었다라는 문장의 함의로 전달할 수 있는가에 대한 부분인 것인데 철수는 밥과 빵을 먹었다. 철수를 빵을 먹지 않았다. 라고 하면 모순이 생기므로 이상이 생긴다.

 

문제에서 제시하는 개념어들에 대한 숙지는 기본이고, 해당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는 맥락과, 구체적인 예시로

제공하는 부분을 선지에 적용할 수 있어야 답을 찾을 수 있는 문항인듯 싶다.

728x90
Posted by 런닝보이
728x90

몇 개 처음 보는 개념이 등장하기 때문에 잘 정리해야 함.

반사실문에서 반가능문으로의 개념 확장, 가능세계 및 불가능세계의 개념에 대해서 체크하고 선지를 보아야 함.

기본적으로 ㄷ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음. 전건이 실제 사실이 아닌 거짓인 조건문을 반사실문이라고 하므로

대한민국의 수도가 서울이라면이라는 전건 자체는 사실이니 반사실문이 아님. (리트에 기본적인 상식 정도는 필요하다는

것을 간단하게 보여주는 문제. 대한민국의 수도가 서울이라는 상식이 없으면 나가리)

ㄴ을 보면 철수가 둥근 사각형을 그리는 '모든' 불가능 세계라고 하므로 제시문의 내용으로 추론하지 못하는 것을 선지에서 단정지어 이야기하고 있으므로 ㄴ도 제거할 수 있어서 ㄱ만이 답이다.

 

어떤, 모든을 지칭을 할 때 이것이 가지는 범주에 대해서 잘 판단을 해야 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는 듯 함.

 

ㄱ같은 경우 추리문제의 사고 방식에 대해서도 알게 해주는 선지로 보이는데, 전형적으로 제시문에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상황 등에 대해서 추론하여 정답을 맞추는 문제 스포츠카를 판매하는 사람이 있는 불가능세계를 떠올리면 되는 듯. 

728x90
Posted by 런닝보이
리트 추리논증/추리2022. 11. 14. 09:38
728x90

발문 : 다음 글로부터 추론한 것으로 옳은 것은? - 전형적인 추리문항의 발문. 그러나 종종 이런 식으로 해놓고 논증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경우도 있으니 문제를 볼것.

문제의 구조: 보조 생식의료에 대한 간단한 개념 설명과 해당 제도에 대해서 A국과 B국의 제도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에 대해서 추론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

선지 내용:

1번은 A국에서는 다른 여성의 보조 생식 의료에 동의할 경우 출산한 여성과 부부가 아니라 동의한 여성이 '부'로 인정되는 것. 그래서 정확하게 제시문에서 혈연관계, 혼인관계 요건과 상관이 없다는 이야기를 친절하게 써놓은것.

2번은 정답으로 함축 및 귀결의 기본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선지임. 제시문 친자 관계가 첫 줄에 출산 또는 입양이라는 2가지로 확실하게 선을 그어 놓았다는 점. 굳이 이렇게 생각 할 필요는 없는 문제이지만 A V B = ~ A & B의 세계로 이해해되 아예 틀리지는 않는다.

3번은 '자연적으로 생식이 불가능한 모든 자'가 너무 어긋났음

4번은 출산한 사람만이 모, 혼인 관계에 따라 부이므로 남편이 부임.

5번은  A를 다룬 문단 첫줄 끝에 표시. 

 

3~5번은 그냥 구색 맞추기로 낸 느낌이 들고 1번에서 부-부부를 구별하는 것. 이를 캐치 못하거나 착각하면 노답된다. 2번은 첫 줄의 전제를 잘 깔고 가는가를 보는 문제인듯함.

 

728x90
Posted by 런닝보이
리트 추리논증/추리2022. 11. 14. 09:02
728x90

-언어추리(법,규범)

-발문:  A국 법원의 입장.  A국 법원의 입장을 추론할 때 글의 내용에서 절대 벗어난 것이나 추론할 수 없는 것을 선택하면 안됌(함축 및 귀결의 기본)

-선지 확인

1번 선지는 1951년 12월의 판결로 미루어 보아 정당한 판결로 인정되었고, 1955년 재심을 구한 판결에서도 이전의 판결은 무효가 아니라고 판결하였음.

3번 선지는 기본적으로 A국 법원은 혐의만 있어도 근로자가 '신뢰'를 잃었다고 보고 있고 이는 해고에 적법한 이유라고 이유를 명시함.

4번 선지는 위의 질문과 함께 보아 신뢰 관계를 고려한다고 보아야 함.(근로관계의 지속을 위해서 신뢰가 필요)

5번 선지는 범죄 혐의가 있다는 사실이 신뢰관계를 잃게 할 만한 충분한 이유라고 1951년 12월 판결에서 판단하여 해고를 정당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

 

정답 : 2번 1951년 12월 판결의 기준이 해고 통고, 1955년 판결에서 기준으로 삼은 것은 1954년의 무죄 판결이 난 시점이 아니라 1951년의 판결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 만일 1955년 판결에서 해고가 부당하다고 했으면 무죄가 발생한 시점이 정당성의 판단 기준이 되었을 것.

 

코멘트: 이 문제는 정답을 제외한 나머지 선지들이 명백하게 아닌 부분이 있기 때문에 2번을 고르기가 어렵지 않았는데, 2번에서 단순히 '해고 통고 시 '라는 단어에 집착하게 되면 머리가 아파지기 시작한것 같다. 해고를 언제 인정받았다는거지? 하는 것이 출제 의도가 전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생각하게 만든다. A국 법원의 입장이라고 하니 A국 법원의 판결들을 기초로 정답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하는 것 같다. 또한 앞부분에서도 A국 법원이 명확하게 나치동조의 혐의만 있어도 해고가 정당하다고 하니, 정말로 해고가 언제 정당화 된거지? 라는 부분에 집착할 필요가 전혀 없다.

728x90
Posted by 런닝보이